한국어에서 한자어 형성 공식

2021. 11. 17. 23:14우리 옛말 공부

한국어에서 한자어 형성 공식

 

 

이제 너무 쉽습니다.

 

1. 다다르다--->도달(到達)하다, 도착(到着)하다

 

다다르다의 옛말은 다ᄃᆞᆮ다입니다. 다달-하다이니 우리말 그대로 한자어 도-달-하다입니다. 두 번째 초성은 ㅼ 이니 ㅈ/ㅊ 되어 도착(倒着)하다가 됩니다. 추정 고어는 ᄃᆞ-ᄯᆞᆲ -하다입니다.

 

2. 떠나다 --->출발(出發)하다

 

떠나다의 옛말은 ᄠᅥ나다입니다. ‘-를 붙이면, ‘ᄠᅥ-나-하다입니다. 두 번째 한자어 초성 ㅂ 이 나올려면, ㄴ 이 ㅂㄴ 되어야합니다. 그래서 원래 추정 고어는 ᄣᆞᆲ- ᄟᆞᆲ -하다입니다. 쉽게 말하자면 ᄠᅥ나다의 ㅳ 이 ㅈ/ㅊ 의 ()’인데 고대에는 ㄷ의 ㅌ ()이었다고 추정하는 것입니다.

 

https://blog.daum.net/daesabu/18326803

이렇게 '뱉다'에서 추정해도 됩니다.
 

3. 모으다---->모집(募集)하다

 

  모으다옛말은 모도다/모토다/모호다입니다. 원래는 --하다이니 ㅁ-ㅼ 이 ㅁ-ㅈ 되어 모집(募集)하다가 됩니다. 영어는 muster 로 거의 그대로 대응하고, ㅍ 되어 pile 가 되고 ㅅ은 쌓다save 가 되고 한자어는 거둘 수()’가 됩니다. ㅁㄱ에서 ㄱ 은 거두다가 되는데 원래는 --하다였고 영어는 ga-ther 이 됩니다. ㄱ은 ㅋ 되어 collect 가 됩니다. 참고로 거두다의 옛말은 주리혀다로서 ㄱ이 ㅈ 된 경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