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고 빼어나다=고매(高邁)하다, 고상(高尙)하다, 고결(高潔)하다
2021. 11. 17. 22:33ㆍ우리 옛말 공부
높고 빼어나다=고매(高邁)하다, 고상(高尙)하다, 고결(高潔)하다
ㄱ은 ㄴ 됩니다. ‘높다’의 ‘하다’에서 ㄱ 과 ㄴ 으로 분리 되었다고 해도 됩니다.
https://ko.dict.naver.com/#/entry/koko/8413290cd5fa484d933e740b533d8631
‘빼어나다’의 옛말은 ‘ᄲᅡ혀나다’입니다. ㅂ은 ㅎ되면, ‘훌륭하다’가 됩니다. ‘깨끗하다를 붙이면, ’고결하다‘가 됩니다.
https://ko.dict.naver.com/#/entry/koko/b3c1ad036cf149948923f0f377e41c0f
’빼어나다‘는 ’뛰어나다‘이니, ㅽㄷ 맞추어집니다. 실제로 ’뛰어나다‘의 옛말은 ’ᄠᅮ여나다‘입니다. 역시 정확하게 ’ㅵ‘의 변화형인 ’ㅽㄷ‘이 잘 나타난 우리말입니다.
ㄷ-ㄷ 만으로 ’대단하다‘가 나오고 한자어는 ㄷ이 ㅌ 되어 ’탁월(卓越)하다‘가 됩니다.
'우리 옛말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어에서 한자어 형성 공식 (0) | 2021.11.17 |
---|---|
실(實)하다, 착실(着實)하다, 건실(健實)하다 를 찾아서 (0) | 2021.11.17 |
비벌지다=비탈지다 (0) | 2021.11.17 |
(때려) 부수다 와 관련된 티벳어 고찰 (0) | 2021.11.17 |
말 의 티벳어 고찰 (0) | 2021.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