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수다=파쇄(破碎)하다, 빠개다, 깨다=파괴(破壞)하다

2021. 11. 16. 21:02우리 옛말 공부

우리말에서 나온 한자어 ’-하다입증

 

부수다=파쇄(破碎)하다, 빠개다, 깨다=파괴(破壞)하다

 

보통 부수다파쇄하다를 같은 언어라고 잘 생각을 못합니다. 왜냐하면 우리말 부수다부수하다였다는 것을 알지 못하기 때문이고, ‘빠개다빠개하다임을 모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최종 합용병서 ㅴ을 알아야 합니다. ‘깨다의 옛말은 ᄢᅢ다입니다. ‘부수다는 ㅄ에서 나온 것이고, ‘깨다는 ㅴ 에서 ㅺ 되고 ㄲ 된 것입니다. 그래서 우리말 부수다 + 깨다가 ㅴ 이고, 한자어는 파쇄괴(破碎壞)’가 ㅴ 이 ㅍㅺ 된 것입니다. 우리말 ㅴ 이 부수하다에서 한자어가 되면서 파쇄하다가 되고, 우리말 빠개하다가 한자어 퐈괴하다가 된 것입니다. 우리말에 동사형에 ‘-하다‘-가 빠진 정도인데 우리말과 한자어는 전혀 다르다라고 인식하고 심지어 한자 유입으로 ‘-하다가 후대에 붙은 조어법이라 생각하게 된 것입니다.

우리말 부수하다가 중원에 가서 파쇄하다가 되고 우리말 빠개다가 한자어가 파괴하다된 것입니다. 우리말 순서를 바꾸면서 ‘-하다를 빼버리게 됩니다. 우리말은 현 깨다의 옛말도 ᄢᅢ다’, ‘부화(孵化)하다까다ᄢᆞ다가 ㅴ 으로 분명하게 최고 초성을 남겨서 우리가 한자어의 원류임을 증명하고 있습니다. ‘까다ᄢᆞ다의 ㅂ 이 벗기다입니다.

다시 정리하자면, 한자어라 알려진 파쇄(破碎)’파괴(破壞)’가 들어오기 전에 이미 고대 한국과 티벳에서는 부수하다빠개하다있어 고대 언어의 원류가 한자어에 있는 것이 아니고 고대 한국과 티벳-흔히 말하는 환국 시절-에 있었다는 것을 밝혔습니다.

우리말 ‘-앞에는 항상 ‘-를 붙여야 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옷을 벗기다까다ᄢᆞ다의 ㅴ 이 벗기로 나타난 것입니다. 한자어는 ㅂ에서 벗길 박()’이 나오고, ㄱ에서 벗길 각()’이 나오는데, 보통 새길 각이라 합니다. ㅴ 은 ㅵ 에 대응되고 ㄷ은 떨어지다가 되고 ㅌ 되니 벗을 탈()’이 됩니다. 그래서 우리말은 옷을 벗기다순서지면, 한자어는 탈의(脫衣)’ 순서가 되는 것입니다. ‘박탈(剝脫)’이란 벗겨 떨어짐이란 뜻입니다. 그래서 떨어지다의 옛말을 찾아 보면 ᄠᅥ디다가 나오는데, 반드시 ‘-하다를 붙여야 하니, ‘ᄠᅥᆯ디하다가 원어입니다. -ㄷ 이 ㅂ-ㅌ 된 것이 박탈하다인 것입니다.

 

우리말 ‘-‘-를 추가해서 하다가 되면 바로 한자어에 대응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일반적으로 한자어에서 온 단어라는 것을 알고 보면 고대 한국어 원어에서 나온 것이고 이는 티벳어가 분명하게 증언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면 만들다의 한자어 제조(製造)하다는 전혀 다른데 어떻게 된 것일까요?

 

우리말 만들다는 옛말이 ᄆᆡᇰᄀᆞᆯ다/ ᄆᆡᇰᄃᆞᆯ다/ ᄆᆞᆫᄃᆞᆯ다입니다. /ㅵ에서 ㅁㄱ/ㅁㄷ 된 것입니다. /ㅼ 은 ㅈ 이 되어 우리말 짓다가 됩니다. 반드시 우리말은 ‘-하다였으니 ᄆᆡᇰᄀᆞᆯ하다/ᄆᆡᇰᄃᆞᆯ하다가 원어였고, ‘짓고 만들하다이니 ㅈ ㅁㄷ/ㅁㄱ에서 두 번째 초성 ㅁ 이 생략되어 ㅈ-ㅈ 으로 나타난 것입니다.

우리말에서는 장만하다인데 ㅈ-ㅁ에서 두 번째 초성 ㅁ 옆에 ㅈ 있었다는 것입니다.

장만다로 줄인 표현이 아닌 ‘-하다가 붙은 우리말입니다.

 

 

제조(製造)하다장ㅁ잔하다에서 분리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우리말의 근원에서 한자어가 나오게 된 것입니다.

 

<<고조선문자3, 경진출판사, 허대동, 참조 와 추가 고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