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리다, 지우다, 떼다, 떼어 버리다 =폐기(廢棄)하다의 마디 고찰

2021. 11. 16. 16:09우리 옛말 공부

버리다, 지우다, 떼다, 떼어 버리다 =폐기(廢棄)하다의 마디 고찰

 

 ‘버리다를 보면 -이고 원래는 -하다에서 온 것입니다. 더 고어를 추적하면, ‘-ᄧᅳ다가 됩니다. ‘떼다의 옛말은 ᄠᅦᅘᅵ다/ᄠᅦ히다이니 ㅂ에서 -ᄧᅳ다가 나오고 ㅳ에서 ᄠᅦᆲ-ᅘᅵ다가 되는데 원래는 ᄠᅦᆲ -ᄧᅳ다였다고 보는 것입니다.

ㄷ에서 ㅈ 되면, ‘지우다가 됩니다.

여기까지 보면서 /이 분리되면서 버기하다’-->‘폐기하다가 되었다고 보면, 한마디의 합용병서 ㅳ/ㅲ 이 2마디의 한자어가 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1마디, 2마디의 애매한 경계가 많지만, ‘버리다혹은 ᄠᅦ다의 ㅂ에서 나온 ㅍ 이라는 것은 명확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