꾸짖다, 꾸중하다, 나무라다=책망(責望)하다

2021. 11. 16. 22:49우리 옛말 공부

꾸짖다, 꾸중하다, 나무라다=책망(責望)하다

https://ko.dict.naver.com/#/entry/koko/a59f47991af5443089c5448a723909f7

 ‘꾸짖다ᄭᅮ짓다(16~19C)’로 나타납니다. ᄭᅮ짛하다에서 구짖다구중하다가 나옵니다. ㄱ이 ㄴ 되면서 가 되고 두 번째 ㅈ 앞에 ㅁ 있으니 나무라다가 되는 것입니다. ㅺ 이 ㅈ/ㅊ 되면 ()’이고, 두 번째 ㅁㅈ에서 ㅁ 이 ()’입니다. 꾸중을 바라는 사람은 더물 것이니 그냥 우리말 ᄭᅮ ㅁ짛 하 다에 맞춘 한자어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면 ㅂ 은 한자어 비난(非難)하다가 됩니다.

우리말에 ㅁ 은 어디에 있을까요?

https://ko.dict.naver.com/#/entry/koko/314ba99e4a3e4d8ebbe2a82e874d1a83

경남 방언 멀쿠다입니다.

 

 

티벳어를 보겠습니다.

<<티베트어-한글 사전, 전재성 편저, 한국빠알리성전협회 , 1009>>

གཤུང [suŋ f]=꾸짖다, 비난하다

 

문자 상으로는 ‘gsuŋ / ㄱ숭인데 실제 티벳어는 ㄱ 소리가 나지 않습니다. 우리말 꾸중이 원래는 꾸숭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영어는 ᄭᅮ에서 scold 가 되고 ㄱ 이 ㄹ 된 후 둥째 초성은 ㅂ 계열만 나타납니다.

 

ᄭᅮ 의 ㄱ 의 ㄹ /

re - buke =rebuke

re -prove =reprove

re -proach=reproach

 

ㅂ이 ㅇ ㅂ의 ㅁ

ad - moni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