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 목(目), 보다, 그리고 티벳어 비교 고찰

2021. 11. 15. 06:37우리 옛말 공부

눈 목(), 보다, 그리고 티벳어 비교 고찰

 

우리말은 ㅂㄴ에서 분리 되었습니다. 한자어 ()’은 우리말 ㅂ 의 ㅁ입니다. 티벳어도 동일합니다.

 

<<티베트어-한글 사전, 전재성 편저, 한국빠알리성전협회 , 743>>

མིག (དམིག) [mi h/ h] =, ()

ㅂㄴ에서 ㅂ이 ㅁ 된 것으로 한자어 ()’ 그대로입니다. 즉 한자어에서 티벳어가 나온 것이 아니라, 고대 ㅂㄴ에서 ㅂ이 ㅁ 되어 티벳어와 한자어가 된 것입니다. /ㅂㄴ에서 교차되어 ㄷㅁ 이 된 후 ㄷ을 붙여도 되고 안 붙어도 되는 것입니다. 초성이 생략되면 ㅇ의 안()eye 가 됩니다.

མིག (དམིག) ཁུང [mig f khuŋ f / f f] =눈구멍, 눈자위

구멍의 ㄱ 이 kh 가 된 현상입니다.

མིག (དམིག) སྔར [mi f ŋar f/ f f]=눈앞, 현재, 목전(目前)

앞 전()’ 이 여기서는 문자상 ‘sŋar/ ㅅ날로 나타나는데, 한자어 ㅈ 이 되어 ()’이 되는 것입니다.

མིག (དམིག) ཆུ [mi f chu f / f f]= 눈물

물 수의 ㅅ이 ㅊ 되어 나타난 것입니다.

 

 

མིག (དམིག) ལྟ [mig f t ǝ f/ f f]=<명사> 보살핌 , [mi h t a f/ h f] <동사> 보다

두 번째 초성 문자상 발음은 ‘lta/ ㄹ타인데 ㄹ 은 생략됩니다. 한자어 목도(目睹)’가 됩니다.

 

མིག (དམིག) ལྟ་ བྱེད [ mig f t ǝ f jew / f f ] =돌보다, 보살피다, 관리하다, 돌보아주다

동사형 어미는 붸다인데, 실제 발음은 입니다. ‘목도(目睹)하다가 되는 단어입니다.

우리말 합용병서에는 나타나지 않은 ㄷㅁ 이 나타나서 초성의 이치를 빨리 파악하기 어렵지만 그 근원에는 ㅳ 과 ㅁㄷ 의 합용병서 이치가 담겨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