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지하다, 저항하다의 티벳어 고찰

2021. 8. 21. 23:22고대 한국어=티베트어

저지하다, 저항하다의 티벳어 고찰

 

저지(沮止)하다막아서 그치게 하다입니다. ’막을 저()‘이니 막다, 그치다의 ㅁㄱ에서 ㅈ 된 한자어입니다. 그러면 티벳 문자에는 어떻게 나타날까요? ㅁㄱ 이 ㅇㄱ 으로 나타나서 소리는 ㄱ 만 나게 됩니다.

 

 

<<티베트어-한글 사전, 전재성 편저, 한국빠알리성전협회, 247>>

 

འགོག་ གོལ[gog v g ö f / v f ]=저지, 저항(抵抗)

문자 상 소리 표기 : [agog g öl/ ㅇ 곡 괼 ]

 

འགོག་ གོལ་ བྱེད [ gog v g ö f jew / v f ]=저지하다, 저항하다

문자 상 소리 표기 : [agog g öl byed/ ㅇ 곡 괼 볘ㄷ ]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명사형 다음 우리말 ‘-하다བྱེད [byed: 문자상 발음]가 붙으니, 이것은 절대 한자어라고 말할 수 없는 것이고 고대 한국식 조어법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물론 제가 세계 최초로 입증했습니다.-

 

 

위에 보면 또 재미난 이치가 들어 있습니다. ㅂㄱ에서 ㅁㄱ 되어 막다’ ‘가리다/그치다로 나뉘어지는데, /ㅁㄱ 이 ㅇㄱ 되어 정확히 문자로 남아 있고 소리만 ㄱ 으로 현재 납니다. 그리고 ㄱ에서 ㅈ 됨은 누누이 강조했습니다. 우리말 막고/가리고 그치다의 원어 곡굃에서 한자어 저지가 나오는 것이고 막다/버티다의 ㅁ/ㅂ에서 ㅎ 이 ()’이 되는 것입니다. 우리말에서 ㄱ 은 ㄷ 이 되어 이 됩니다.

 

이런 ‘-하다를 붙인 우리말식 조어법은 티벳 사전 안에 중요단어들이 다 들어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말 한자어에 하다가 붙은 것은 중원 한족 문화 유입으로 인한 것이 아니라 고대 한국어 언어 결합 방식입니다.

 

영어로 block 이라 하는 것은 막다혹은 한자어가 된 ()’의 ㅂ입니다.

 

'고대 한국어=티베트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릇 티벳어 재 고찰  (0) 2021.10.24
영어와 티벳어 문자 비교 예  (0) 2021.08.29
길 도 의 티벳어  (0) 2021.08.21
이제 ‘기뻐하다/기쁘다’ 티벳어 고찰  (0) 2021.08.20
껍질 추가  (0) 2021.0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