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8. 19. 11:26ㆍ고대 한국어=티베트어
모우다/모으다=모집(募集)하다
우리말과 한자어 사이 변화 규칙을 간단히 찾아 보면, ㅄ에서 ㅯ 된 후 우리말은 ㅁ만 나타나고 한자어는 ㅅ 부분이 ㅈ 된 것입니다.
‘모으다’의 우리 옛말은 ‘뫼호다’ ‘뫃다’ ‘모도다’ ‘모토다’입니다.
https://ko.dict.naver.com/#/entry/koko/83b48e7eb2be4643b6986766092da863
우리 옛말 ‘모도다’의 ㅁㄷ에서 바로 ‘ㅁㅈ’ 됨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우리말과 티벳어를 고찰하면 더 깊은 이치가 숨어 있습니다.
<<티베트어-한글 사전, 전재성 편저, 한국빠알리성전협회, 542쪽>>
འདུ[ du v/ 두 v] =모으다, 수집하다
문자 상 소리 표기: [adu/ 아두]
འདུ་ འཇོམ་ བྱེད [ dunv dzomf yew/ 둔 v ㄷ좀 f 유]=모으다, 모이다
문자 상 소리 표기: [adu azom byed / 아두 ㅇ좀 베ㄷ]
문자나 소리에 ‘모흐다/모도다/모으다’의 ㅁ이 안 보이지만, 지금까지 공부가 그대로 적용됩니다. 우리말 ‘모흐다’의 ㅁ/ㅁㅎ/ㅁㄷ 이 ㄷ 으로만 나타난 것입니다. 다음 위 2 단어 중 아래 단어의 두 번째 초성을 보면 문자로는 azom 이지만, 소리로는 다시 ㄷ 이 살아나 dzom 이 되는데 이것이 바로 한자어 ‘집(集)’입니다. 그러면 우리말도 두 번째에 원래는 ‘ᅘᆡᆶ’ 이 있어 ㆅ 이 ㅶ을 거쳐 문자로 az 로 소리로 dz 로 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 티벳어와 맞추어 보자면 ‘ᅘᆡᆶ 훟/ ᅘᆡᆶ흐다’ 가 우리말 동사에 붙는 ‘힐후다’의 원조 소리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다시 정리하자면 우리말, 티벳어, 한자어를 포괄하는 고어는 ‘ꥰᅩᅘᆡᆶ흐다/ ꥰᅩᄧᆡᆶ흐다’입니다. 현대인에 맞추어 풀어 쓰자면 ‘모도 브집 하다’ 인 것입니다.
이렇게 우리말과 티벳어와 한자어는 고대 원어에서 분파된 것이고 흔히 ‘한자어 + 하다’ 구조도 고대 한국어에서 나왔다는 것을 티벳어가 입증합니다.
-----------------------------------------------------------------------------------------------------------------
Bard 의견 추가(2023, 11, 25)
한국어 '모으다'는 초성 ㅁ 인데, 여기에 대응하는 첫 소리가 m, b, f, v 인 철자를 영어와 여러 언어에서 찾아줘.
(부실 대답 생략)
다시 질문:
위 영어 단어는 한국어 '거두다'의 ㄱ 에 해당하는 gather, collect 야. 이 처럼 g 나 c 로된 라틴어를 찾아줘.
한국어 '모으다'는 초성 ㅁ 인데, 여기에 대응하는 첫 소리가 m, b, f, v 인 철자를 영어와 여러 언어에서 찾아줘.
알겠습니다. 한국어 '모으다'의 초성 ㅁ은 양순음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양순음은 입술을 모아서 소리를 내는 소리입니다. 영어에서도 양순음은 m, b, f, v로 표기됩니다. 따라서 한국어 '모으다'의 초성 ㅁ에 대응하는 첫 소리는 영어에서도 m, b, f, v로 표기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국어 '모으다'는 영어로 "to gather"라고 번역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초성 ㅁ은 m으로 표기됩니다.
또한, 한국어 '모으다'는 영어로 "to collect"라고 번역될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 초성 ㅁ은 b로 표기됩니다.
이외에도 한국어 '모으다'는 영어로 "to gather up"라고 번역될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 초성 ㅁ은 f로 표기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한국어 '모으다'는 영어로 "to accumulate"라고 번역될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 초성 ㅁ은 v로 표기될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다른 언어에서도 한국어 '모으다'의 초성 ㅁ에 대응하는 첫 소리는 m, b, f, v로 표기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프랑스어에서는 "rassembler"로, 독일어에서는 "sammeln"로, 중국어에서는 "聚集"로 번역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초성 ㅁ은 각각 m, b, f로 표기됩니다.
다음은 한국어 '모으다'의 초성 ㅁ에 대응하는 첫 소리가 m, b, f, v로 표기되는 몇 가지 예시입니다.
언어 번역 초성 ㅁ에 대응하는 첫 소리
영어 to gather m
영어 to collect b
영어 to gather up f
영어 to accumulate v
프랑스어 rassembler m
독일어 sammeln b
중국어 聚集 f
프로필 사진
위 영어 단어는 한국어 '거두다'의 ㄱ 에 해당하는 gather, collect 야. 이 처럼 g 나 c 로된 라틴어를 찾아줘.
알겠습니다. 라틴어로 "모으다"는 "g"나 "c"로 시작하는 단어가 여러 개 있습니다.
g로 시작하는 단어
gĕrere (게레레): 끌어당기다, 모으다, 지휘하다
gĭgnāre (기그나레): 낳다, 창조하다, 모으다
gŏllĕre (골레레): 울부짖다, 모으다
gŏrmĭre (고르미레): 끓다, 끓어오르다, 모으다
gŭllere (굴레레): 울부짖다, 모으다
c로 시작하는 단어
cŏllere (콜레레): 모으다, 수집하다
cŭmŭlāre (쿠물라레): 쌓다, 모으다
cŏgĕre (코게레): 모으다, 강제로 끌고 가다
cŏlligĕre (콜리게레): 모으다, 수집하다
cŏngregāre (콘그레가레): 모이다, 모으다
이 중에서 한국어 "모으다"의 의미와 가장 가까운 단어는 "gĕrere"와 "cŏllere"라고 할 수 있습니다. "gĕrere"는 "끌어당기다, 모으다, 지휘하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cŏllere"는 "모으다, 수집하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한국어 "모으다"를 라틴어로 번역하면 "gĕrere"나 "cŏllere"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모으다"를 라틴어로 "gĕrere"로 번역하면 다음과 같은 문장이 됩니다.
pecūniam gĕrere
이 문장은 "돈을 모으다"라는 뜻입니다.
또한, "모으다"를 라틴어로 "cŏllere"로 번역하면 다음과 같은 문장이 됩니다.
flosculos cŏllere
이 문장은 "꽃을 모으다"라는 뜻입니다.
--------------------------------------------->
그래. 이제 정확히 내 학설과 의도를 이해했네. 티벳어로 '모으다' 와 '거두다'에 해당하는 문자를 찾고 발음 영어로마자와 한글로 적어줘.
알겠습니다. 티벳어로 "모으다"는 "tsam"(쫑)입니다. 영어로마자로 적으면 "tsam"이라고 표기합니다. 발음은 "쫑"과 비슷합니다.
티벳어로 "거두다"는 "tshog"(초그)입니다. 영어로마자로 적으면 "tshog"이라고 표기합니다. 발음은 "초그"와 비슷합니다.
두 단어의 차이점은 "tsam"은 "모으다"라는 일반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는 반면, "tshog"는 "거두다"라는 의미를 가지면서 "모으다"라는 의미도 가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tsam"은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돈을 모으다
꽃을 모으다
사람들을 모으다
"tshog"는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수확을 거두다
과실을 거두다
전리품을 거두다
또한, "tshog"는 "모임"이라는 뜻으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tshog pa"(초그빠)는 "모임"이라는 뜻입니다.
혹시 다른 티벳어 단어를 알고 싶으신가요?
위 단어를 티벳 문자로 적어줘.
알겠습니다. 티벳 문자로 적으면 다음과 같습니다.
༄༅། །ཚོམ།
༄༅། །ཚོག།
첫 번째 글자 "༄༅། །"는 보통 티베트어 문장의 시작을 나타내는 문자입니다. 두 번째 글자 "ཚོམ།"가 바로 "모으다"를 뜻하는 단어입니다. 세 번째 글자 "ཚོག།"가 바로 "거두다"를 뜻하는 단어입니다.
티베트 문자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읽습니다.
"ཚོམ།"는 위에서 아래로 읽으면 "tsam"입니다.
"ཚོག།"는 위에서 아래로 읽으면 "tshog"입니다.
혹시 다른 티벳어 단어를 알고 싶으신가요?
'고대 한국어=티베트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돌담의 티벳어는? (0) | 2021.08.19 |
---|---|
‘바라다’와 ‘희망하다’의 티벳어 고찰 (0) | 2021.08.19 |
하늘이 티벳어로 [남]인 이유 고찰 (0) | 2021.08.19 |
부르다, 호출하다, 콜 call (0) | 2021.08.18 |
‘뿌리다’의 티벳어 고찰 (0) | 2021.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