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릇’과 정말 닮은 티벳어 고찰

2021. 8. 12. 23:42고대 한국어=티베트어

그릇과 정말 닮은 티벳어 고찰

 

 

 

이제 지금까지 고찰로 우리말 그릇그릏이 원어였고 그 이전 우리말은 /글ᄒᆡᆶ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니 ᄒᆡᆶ의 ㅎ 이 ㅁ 되면 한자어 기물(器物)’이 되는 것입니다. 무리이기도 하니 결국 우리말 그릇 무리줄임말이라 해도 됩니다.

 

이제 티벳어를 보겠습니다.

 

<<티베트어-한글 사전, 전재성 편저, 한국빠알리성전협회, 45>>

 

ཀ་ལ་ཤ [ka la sa/ 카라사]=물주전자, 단지

 

문자와 소리가 일치하는 경우입니다.

 

 

단지’ ‘도ᇰ화/동이와 비슷한 동의어입니다.

 

그릇에 상응하는 ㄷ입니다.

 

우리말 그릇그대로 풀면 그라사’-->‘크라사/카라사가 됩니다.

 

역시 우리말이 나온 이후에 풀어져 티벳어가 됩니다.

 

 

그릇단지보다 포괄적인 단어지만, 충분히 우리말 그릇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일어로 うつわ[우츠와] 라고 하니 ㅂ 이 ㅇ 된 것입니다. /ㄷ 은 ㅈ 다음 ㅊ의 가 됩니다. ㅀ 은 -->로 나타납니다.

 

 

 

 

'고대 한국어=티베트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말’의 티벳어가 왜 ‘나/ ᅌᅡ’ 일까요?  (0) 2021.08.13
ㅂ이 먼저인가 ㅎ이 먼저인가?  (0) 2021.08.13
뿌리의 티벳어는 ?  (0) 2021.08.12
쥐의 티벳어  (0) 2021.08.12
바위 고찰  (0) 2021.0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