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심이 티벳어에 남은 표현

2021. 8. 6. 23:15고대 한국어=티베트어

마음 심(心), 이미 많이 다루었습니다.

 

ㅁㅅ 에서 ㅁ은 마음, mind, ㅎ 되어 heart 입니다.

 

ㅅ 은 심(心)

 

그러면 티벳어에는 어떻게 나타날까요?

 

བློ་ སིམས[lof semh][롶 셈(ㅎ)]

 

<<티베트어-한글 사전,

전재성 편저, 한국빠알리성전협회 , 694>>

 

문자대로 표기: [blo(h) sems/ ㅂ로() 셈스]

 

 보시기에 우리말 '마음'과 티벳어가 완전히 달라보이지만,

우리말 '마음'의 ㅁ 이 ㅂ 이었고 티벳어에서 생략된 다는 것을 알고, 종성 ㄹㅎ 이 있었다는 것을 알면

 

ꥱᆞᆶ/ᄡᆞᆶ에서 ㅂ롷 셓이 되고 ㅂ로() 셈스가 되고 현 티벳어 롶 셈()’이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ꥱᆞᆶ/ᄡᆞᆶ에서 ㅂ롷 셓이 되고 ㅂ로() 셈스가 되고 현 티벳어 롶 셈()’이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한국어) ‘ꥱᆞᆶ/ᄡᆞᆶ’-->‘ᄆᆞᆯᄒᆡᇂ’-->‘ᄆᆞ흠’-->‘ᄆᆞᅀᆞᆷ(옛말)’-->‘마음

한자어) ‘ꥱᆞᆶ/ᄡᆞᆶ’-->ㅁ 탈락 ᄉᆞᇂ-->-->

일어) ‘ꥱᆞᆶ/ᄡᆞᆶ’--> ㅁ이 ㄱ 으로 변하여 알지 못하게 됩니다. こころ[코코로], ㅀ 만 로 로 겨우 남아 있습니다. ㅁ이 ㄱ 되는 것은 많이 ㅁㄱ에서 많이 이야기 했습니다. ‘머구리개구리되는 경로입니다.

혹은 ㅴ에서 ㅄ 의 한국어/한자어 분리 후 ㄱ 의 일어가 되었다고 해도

한중일 분리 시점을 제외하고 음가 변화 이치에는 큰 차이는 없어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