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다, 어디에? 바구니, 병, 독/동이/단지, 소쿠리, 그릇

2021. 5. 14. 20:513마디 9초성 영단어장

담다, 어디에? 바구니, , /동이/단지, 소쿠리, 그릇

 

  담는 곳은 많습니다. 하지만 바구니에 바구다’, ‘()에 병다’, ‘소쿠리에 소쿠다’ ‘그릇에 그릇다하지 않습니다. ‘담다는 모두 담다입니다. 동의어는 넣다입니다.

 

  영어는 hold 가 그릇에 액체를 담다이고, 보통은 fill을 사용하니, ㅂ 의 f입니다. 숙어로 put something in~ 이라 합니다. ㅴ 은 그대로 풀어져 영어 basket 이 되는데, 우리말은 ㅲ 이 살아 있는 것이고, 영어는 ㅴ 이 모두 살아 있는 음가입니다. 병은 보통 bottle 이지만, pot 도 가능합니다. ㅂ 의 ㅍ의 p입니다.

 

 좀 더 고찰하자면,

 우리말 '바구니'의 ㅂㄱ 이 ㅄㄱ 으로 남았다면, '바스구니'가 됩니다.

 

'배-스킷/(영국식)바-스켙' 과 비슷하게 됩니다.

 

https://dict.naver.com/dekodict/#/entry/deko/774f6fa56d6f4f8fb7f6c5f4d5b78a87

독어로 바구니Korb[]인데, ㅲ에서 ㄱ 만 남은 것이고, ㅀ 은 rb 로 표현됩니다.

초성만 보면 ㅲ에서 우리말과 영어는 ㅂ을, 독어는 ㄱ을 가지게 된 것입니다.

 

심지어 우리말 번역에 광주리라고도 하니, ‘광주리의 ㄱ 그대로 Korb입니다.

https://ko.dict.naver.com/#/entry/koko/e73dbee3596d4979a71ada0118a72857

즉 바구니의 옛말 중 쾅지가 있으니 쾅히’ ‘콿이 우리말 원어라면, 우리말 완전히 그대로 독어에 Korb[]이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강조할 점은 이것입니다.

https://ko.dict.naver.com/#/entry/koko/b3e049e72b7f40299053c179c3b6b8e5

 ‘담다이니, ‘바구니의 옛말에 ᄃᆞ라치가 있고 이 ᄃᆞ라치ᄃᆞ라히이니 ᄃᆞᆶ원어 그대로 늘인 것입니다. 그리고 한자어 ()’은 바로 ᄃᆞ랗에서 임을 알 수 있습니다.

 

https://ko.dict.naver.com/#/entry/koko/e7e1cec74f1b41b289a1cb838ebc8cac

우리말 그대로 일어가 된 것 모르니, 일어에서 온 우리말이라 하는 것입니다. ‘-의 쓰임을 깨닫지 몰라서 그런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