ㅅㄷ 의 쌓다 =stack , 둑을 쌓는 비밀?

2021. 5. 14. 15:433마디 9초성 영단어장

ㅅㄷ 의 쌓다 =stack 

 

성을 쌓다, 쌓다가 ㅅㄷ 이라 했습니다.

 

그러면 영어는 stack, 한자어는 '성', 우리말은 ㅅ/ㅅㄷ 에서 ㅈ 된 '잣',

 

그러면 ㄷ 은 어디있지요?

 

'둑'입니다.

 

'둑을 둑다'라 안합니다.

나 똑똑한 사람이야, '둑을 둑다'라 해야돼...

다 이상하다고 쳐다 보겠지요?

 

둑을 쌓다.

 

영어는 ㅂ 에서 bank 가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bank 는 동사로 '쌓다', 명사는 '돈을 쌓아 놓는 은행' 이 되는 것입니다.

 

그러면 castle 은?

 

stle 는 '쌓다' '성'의 ㅅㄷ 인데, 앞의 ca-는

 

'같이, 공동으로, 단단히' 란 의미이고

음가로 따지면,

 

ㅄㄷ 에서 ㅂ이 ㅎ 으로 hastle-->다시 ㅎ이 ㄱ castle

 

 

의미를 풀어 대응시키면,

'가리고 쌓은 성'=castle 

 

'캐슬', 이제 아름답고 멋지고 안전하고

인류 최고의 꿈의 성을 쌓았지요 룡봉...

 

물론 쌓다의 stack 대신 build 를 쓰도 되지만,

파파고 번역기에서 작문합니다.

 

나는/할 것이다/ 쌓다--> 하나의 성

  I     will        stack    a castle. 

 

 

번역기 돌리면,

 

독어) Ich werde ein Schloss stapelen.

프랑스어)Je vais empiler un château.

이탈리아어)Staccare un castello.

일어)私は城を積み重ねる。[와타시와 시로오 츠미카사네루].

중어) 我要堆一座城堡。

 

 

의미를 풀어 대응시키면,

 

'가리고 쌓은 성'=castle

 

또 하나의 ㄷ은 입니다.

 

담을 담다가 아니라 담을 쌓다이니 에서 나온 단어입니다.

또 우리가 담벼락할 때, ‘벼락은 우리 고유어이고, ‘()’은 한자어가 됩니다. ㄷ이 ㅈ 된 것이 한자어 담 장()’입니다. ㅼ 이니 이 됩니다. 영어는 wall 인데, ㅂ 의 w 인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