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 학문의 진실, 우리의 뿌리 입증 그리고 언어와 역사

2021. 3. 17. 19:08언어와 유전자학

긴 학문의 진실, 우리의 뿌리 입증 그리고 언어와 역사

 

이 사실은 환단고기를 보고한 것이 아니라 또 독립군 주장이 아니라 고고학 성과를 바탕으로 현 우실하 교수님께서 고조선기원과 요하문명, 우실하, 지식산업사, 662쪽과 기타 동일 저서 몇 군데에서 언급한 내용입니다.

 

똑똑히 보십시오.

 

<<(중략) 홍산문화 시기에 황하문명 지역과 교류하였다는 것은 이미 밝혀진 것이다. 황하문명 앙소문화 채도는 홍산문화 후기에 요하문명 지역으로 들어온다. 같은 시기에 홍산문화 지역에서 당연히 이 지역으로 전파 교류된다. 도사유지에서 발견되는 홍산문화 유형의 옥기들은 이런 교류관계를 규명하는데 중요한 자료이다.

이러한 자료들을 통해서 필자는 (1) 홍산문화 지역에서 남하한 이들이 이 지역의 토착세력들과 결합하면서 주로 중-하급귀족의 상층(3류 갑형)과 중층(3류 을형)으로 편입되었고, (2) 이들 가운데 일부는 옥기가 보이는 고급귀족의 중-하층(2류 병형, 정형)’으로 신분 상승을 한 사람도 있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소병기, 설지강 등 요하문명을 연구하는 중국학자들은 홍산문화 세역이 황제족이고, 이들이 중원으로 들어가 요순시대, --주 시대를 연다고 본다. 필자는 홍산문화 세력이 본래 황제족이라는 이들의 논지는 받아들이지 않는다. 다만 필자는 요하문명 지역에서 중원으로 내려간 일부 동이족의 선조들이 후대에 그 지역에서 황제족으로 집단화된다고 본다. (중략)>>

 

그 외 다양한 고고학적 자료로 동이족과 중원족 사이를 증명하고 있습니다.

 

 

--------------------------------------------------

여기서 다시 이전에 제시한 자료를 거슬러 올라가 보겠습니다.

 

이덕일 교수님 주장이십니다.

 

 

이덕일의 한국통사, 다산북스, 43

 

<< (중략) 앙소문화-->용산문화-->()문화는 모두 동이족 문화이다. ()문화는 하남성 안양현 후강유적이 중심으로 서기전 4000~서기전 1100년의 유적이다. 즉 동이족 국가인 상은 앙소문화와 용산문화를 계승했다고 중국 고고학의 아버지가 말한 것이다.>>

 

----------------------------------------------------------------------

 

 

 

자 이제 언어 분야입니다.

앞에서 제가 증명한 우리말--->한자어를 읽어 보시면, 훨씬 선명해질 것입니다.

 

긴 자료지만, 지금까지 자료 다 붙입니다.

 

 

1

훈민정음에서 찾은 ㄹㆆ 과 종성 ㅇ 의 암시

 

 

우리말 종성 ㅀ 이 한자음에 ㄹㆆ 나타나는 경우

 

 

세계 최초로 우리말 종성를 찾고 그에 따라 한자음 ㄹㆆ이 나왔다는 것을 <<고조선문자3, 경진출판사, 허대동, 116>>에서 발표하였습니다.

 

치ᇙ, ᅌᅯᇙ, ᅀᅵᇙ, ᅌᅯᇙ, 구ᇙ, 져ᇙ, 뿌ᇙ, 씨ᇙ

七 月 日 曰 屈 節 佛 實

 

 

이번에는 훈민정음 앞에서부터 찾아 봅니다.

 

()부ᇙ로 표기하여 ㅀ에서 나온 ㄹㆆ 임을 알 수 있다.

()ᅀᅵᇙ로 표기해서 ㅀ에서 나온 ㄹㆆ 임을 알 수 있다.

()버ᇙ로 표기해서 ㅀ에서 나온 ㄹㆆ 임을 알 수 있다.

()쎠ᇙ로 표기해서 ㅀ에서 나온 ㄹㆆ 임을 알 수 있다.

()벼ᇙ로 표기해서 ㅀ에서 나온 ㄹㆆ 임을 알 수 있다.

()비ᇙ로 표기해서 ㅀ에서 나온 ㄹㆆ 임을 알 수 있다.

()ᅙᅵᇙ로 표기해서 ㅀ에서 나온 ㄹㆆ 임을 알 수 있다.

()벼ᇙ로 표기해서 ㅀ에서 나온 ㄹㆆ 임을 알 수 있다.

 

 

다음 암시는

종성에 ㅇ을 붙여 고대 음가를 암시하는 표기입니다.

-->ㄹ 탈락, --->

 

<<고조선문자3, 경진출판사, 허대동>> 참조

 

()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ᅌᅯᇙᅙᅵᆫ쳔강지콕(月印千江之曲)’에서는 세()라 표기해서 원래 종성에 소리가 없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ᅌᅥᆼ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ᅌᅯᇙᅙᅵᆫ쳔강지콕이라 표기해서 원래 종성에 소리가 없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ᅘᅩᆼ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ᅌᅮᆼ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ᅀᅵᆼ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ᅌᅴᆼ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ᄎᆞᆼ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ᅀᅵᆼ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ᅌᅯᇙᅙᅵᆫ쳔강지콕(月印千江之曲)’에서는 이()ᅀᅵ라 표기해서 원래 종성에 소리가 없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ᄍᆞᆼ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使)ᄉᆞᆼ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ᅙᅥᆼ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ᅀᅵᆼ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ᅀᅧᆼ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ᅌᅡᆼ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ᄍᆞᆼ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ᅘᅡᆼ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라 표기해서 종성에 원래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ᅌᅯᇙᅙᅵᆫ쳔강지콕(月印千江之曲)’에서는 무()라 표기해서 원래 종성에 소리가 없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의도적인 암시를 통해서 고대 한자음이 우리 한국어에서 발원했다는 것을 알게 하는 것이다.

 

그래서 성을 쌓다에서 쌓다(옛말은 샇다/ᄉᆞ다)’를 한자어라고는 아무도 인식 안하듯, 원래 명사는 ()’이란 우리 고유어였다. 한자어가 되면서 /’-->‘이 된 것이고, 우리 고유어는 ㅅ이 ㅈ되어 이 되고 은 제주방언으로 돌담이란 의미이다. ‘’-->‘’-->‘이란 우리 고유어 변화가 있었는데, ‘의 원래 말은 ᄉᆞᇂ이다. 그래서 한자어는 우리말의 한 갈래로서 원래 ()’이란 고대 한국어였다.

 

쌓다의 옛말 안에서 변화만 보아도 당장 그 이치를 알 수 있습니다. 원래 모음은 아래 오/로서 ᄉᆞᇂ다였고, 모음이 ㅏ 로 되면서 샇다가 되고 종성 ㅎ 탈락 해서 ᄉᆞ다가 됩니다. 그러니 ᄉᆞ다의 경우 당연히 종성 ㅎ을 붙여야 고어가 되듯이 훈민정음 한자어 종성에 ㅇ을 붙여 ㅎ/ㅀ 이 있었다는 것을 알게 하는 것입니다.

 

물론 그 첫 번째 공부는 종성 ㅀ을 우리말 안에서 찾는 것입니다.

 

ᄉᆞᆶ/ᄉᆞᆶ다’ --->‘ᄉᆞᇂ/ᄉᆞᇂ다’ --->‘/샇다’-->‘/쌓다

 

초성은 ㅴ에서 나와 ㅅ 은 ᄉᆞᇂ다’, ㅲ 은 보가히다-->보가이다-->포가이다-->포개다가 됩니다. ㅴ에 상대하는 ㅵ 의 ㄷ에서 더하다 가 되고 ㄱ은 가()가 됩니다. 현 우리말 표준어 안에서 포개다부분이 ㄱ입니다. ㅂㄷ에서 우리말 보태다붙이다가 나오고 한자어는 부가(附加)하다가 됩니다.

 

 

 

2.

월인천강지곡(소학사)에 더 많은 자료가 들어 있습니다.

 

(), (), ()ᅙᅵᆶ, 치ᇙ, 로 나타나니 우리말 종성 ㅀ 다음의 후손 언어임을 알 수 있는데 월인천강지곡에 자료들이 더 있습니다.

 

1) 종성에 ㅀ 혹은 ㄹㆆ 이 있는 경우

 

16에 보살(菩薩)뽀사ᇙ이라 표기하여 사ᇙㄹㆆ이 종성으로 나타납니다.

18에 기ᇙ()ㄹㆆ이 종성으로 나타납니다.

19에 사월팔일(四月八日)ᄉᆞᅌᅯᇙ바ᇙᅀᅵᇙ로 나타나니 ㄹㆆ이 종성으로 모여 나타납니다.

21에 발원(發願)버ᇙㄹㆆ이 종성으로 나타납니다.

25에 발()바ᇙ로 표기하니 ㄹㆆ이 종성으로 나타납니다.

30, 36, 146에 출()로 표기해서 우리말 그대로 한자어 종성 으로 나타납니다.

32에 실달(悉達)시ᇙ따ᇙ이라 표기해서 ㄹㆆ이 종성으로 나타납니다.

33,46,47에 별()벼ᇙ이라 표기해서 ㄹㆆ이 종성으로 나타납니다.

35에 밀()미ᇙ이라 표기해서 ㄹㆆ이 종성으로 나타납니다.

39, 93에 달()따ᇙ이라 표기해서 ㄹㆆ이 종성으로 나타납니다.

49에 말()마ᇙ이라 표기해서 ㄹㆆ이 종성으로 나타납니다.

55에 설()ᄉᆑᇙ이라 표기해서 ㄹㆆ이 종성으로 나타납니다.

58에 불()부ᇙ이라 표기해서 ㄹㆆ이 종성으로 나타납니다.

()ᅙᅳᇙ이라 표기해서 ㄹㆆ이 종성으로 나타납니다.

64에 솔()소ᇙ이라 표기해서 ㄹㆆ이 종성으로 나타납니다.

66에 필()비ᇙ이라 표기해서 ㄹㆆ이 종성으로 나타납니다.

92에 열()녀ᇙ이라 표기해서 ㄹㆆ이 종성으로 나타납니다.

98에 갈()꺼ᇙ이라 표기해서 ㄹㆆ이 종성으로 나타납니다.

()ᅙᅳᇙ이라 표기해서 ㄹㆆ이 종성으로 나타납니다.

99에 술()이라 표기해서 이 우리말처럼 종성으로 나타납니다.

104에 월()ᅌᅯᇙ이라 표기해서 ㄹㆆ이 종성으로 나타납니다.

106에 실()씨ᇙ이라 표기해서 ㄹㆆ이 종성으로 나타납니다.

118에 걸()이라 표기해서 ㄹㆆ이 종성으로 나타납니다.

127에 갈()꺼ᇙ이라 표기해서 ㄹㆆ이 종성으로 나타납니다.

128에 발()버ᇙ이라 표기해서 ㄹㆆ이 종성으로 나타납니다.

146에 설()셔ᇙ이라 표기해서 ㄹㆆ이 종성으로 나타납니다.

171에 실()시ᇙ이라 표기해서 ㄹㆆ이 종성으로 나타납니다.

176에 발()빠ᇙ이라 표기해서 ㄹㆆ이 종성으로 나타납니다.

/()류ᇙ이라 표기해서 ㄹㆆ이 종성으로 나타납니다.

181에 찰()차ᇙ이라 표기해서 ㄹㆆ이 종성으로 나타납니다.

182에 굴()코ᇙ이라 표기해서 ㄹㆆ이 종성으로 나타납니다.

 

그래서 ’ ‘’ ‘’‘’‘’‘’ ‘/등으로 나는 모든 한자어는 원래 우리 종성 ㅀ에서 ㄹㆆ 된 후 ㄹ 로 남은 것이니, 모든 한자어의 어원이 고대 한국어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종성 변화는 에서 ㄹㆆ되고 주로 로 남게 된다는 것을 정확하게 많은 단어들로 증명하는 자료입니다.

 

 

그러면 현재 한자음 종성 ㅇ 은 바로 우리 말 종성 에서 ㄹ 탈락 후 ㅎ 이 ㅇ 된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예로 , , , , , , , , 등입니다.

<< 고조서문자3, 경진출판사, 허대동 참조>>

 

 

다음 초성에 ㆅ과 ㆆ, ㆁ 이 있는 경우

 

3에 원()ᅙᅯᆫ이라 표기해서 ㆆ을 초성으로 사용하는 경우입니다.

5에 후()ᅘᅳᇢ이라 표기해서 ㆅ을 초성으로 사용하는 경우입니다. 종성의 ㅱ 도 ㅎ 의 변음 중 하나입니다.

6에 혜()ᅘᅰ라 표기해서 ㆅ을 초성으로 사용하는 경우입니다.

()ᅌᅯᆫ이라 표기해서 ㆁ을 초성으로 사용하는 경우입니다.

 

 

 

 

 

# 이렇게 한자음이라는 것이 원래 우리말에서 나온 언어임을 종성 ㄹㆆ과 초성 ’ , 훈민정음의 종성 ㅇ 을 통해 명확하게 밝혔습니다. 세계 최초로. 이는 고대 한국과 고대 중국 사서가 한국 배달(동이)족에 의해 인류 문명이 창조되었다는 사실을 언어학적으로 입증한 자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