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3. 17. 10:32ㆍ환국대동훈민정음
29. 납 원 복습
ㄶ 에서 ㄴ 생략, 원(猿), ㅎ은 숭
그래서 일어 Saru[사루]는 우리말 '숭'이란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http://jpdic.naver.com/entry/kj/KJ000000065329.nhn
원숧 에서 원은 사라지고, 숧만 사루
그리고 우리말은 납 앞에 '잔-'을 붙여 '잔나비'가 되기도 합니다.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32049300&directAnchor=s324711p207749d259661
또한 잘래비의 비 대신 미도 나오게 되니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32049200&directAnchor=s324710p338480d396017
히의 변음 비와 미를 잘 알 수 있습니다.
1. 몽골어
сармагчин[sarmagchin][살막친]
http://mndic.naver.com/#/entry/mnko/2701585
잔/잘 부분이 살, 나비=막친, 멍키 monkey
나비는 내미 로 발음되니, 밇이 늘어지면서 막친, 멍키
미 부분만 나타나기도 합니다. 미친
http://mndic.naver.com/#/entry/mnko/453422
2. 베트남어 con khỉ[콩 키]
잘 부분이 콩, 납의 ㄶ 에서 ㄴ이 ㄱ 으로 khi
3. 인도네시아 sunukung
http://iddic.naver.com/#/entry/idko/1487302
수누쿵, 수는 숭, 낧에서 누쿵
monyet[먼옛], 히의 ㅁ 에서 나온 것, kera[케라] 히의 ㄱ에서 나온 것
4. 라틴어 simius[시미우스]
http://ladic.naver.com/#/entry/lako/580519
원숭이에서 원은 사라지고, 숭이가 시미우스
http://dedic.naver.com/#/entry/deko/2706079
영어는 ape 인데, 원 혹은 납에서 초성이 생략된 것
6. 힌두어 [키쉬]
http://hidic.naver.com/#/entry/hiko/1074776
즉 납히 에서 ㄴ 은 ㄴㄱ 이라는 것입니다. ㄴ 생략 후, 키,
히는 쉬
# 제 문자 해석에 스스로 놀랍니다.
http://blog.daum.net/daesabu/18285547
우리 언어 안에 모든 인류의 언어가 숨어 있는 것을 다 몰랐는데도,
납 혹은 원, 2가지 다 적용해서 풀었습니다.
'환국대동훈민정음 ' 카테고리의 다른 글
31. 물소 셔 (0) | 2018.03.17 |
---|---|
30. 사자 (0) | 2018.03.17 |
28. 제비 연 복습 (0) | 2018.03.17 |
훈민정음 의 정음? (0) | 2018.03.17 |
27. 까치 작 복습 (0) | 2018.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