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3. 17. 19:53ㆍ환국대동훈민정음
30. 사자
주지(함북 방언)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34974500&directAnchor=s356651p468942d545080
사자와 주지를 고찰해 보겠습니다.
워낙 사자(獅子)가 강하고, 우리 지역에서 사자를 볼 수 없으니 인식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제 공부에 의거해서 함북 방언 '주지'에서 '사자'가 나왔다고 봅니다.
사납고 센 존재 ....사히/싷히
사자 예
http://hanja.naver.com/hanja?q=%E7%8C%8A&cp_code=0&sound_id=0
역시 우리말 '혜' 에서 나온 표현이라 봅니다.
1. Shishi[쉬쉬]
http://jpdic.naver.com/entry/jk/JK000000036812.nhn
즉 우리 고대어 '사히'가 있었을 것입니다.
상어를 생각해 보면 육지의 '사나운 히' 라는 의미라고 봅니다.
사히--->북에서 주지
일어에서 쉬쉬, 한자어는 사자(獅子)로 나타납니다.
2. 몽골어 арслан[아슬랑]
http://mndic.naver.com/#/entry/mnko/1820105
보시다시피, 아슬란, 아슬랑입니다. H 는 ㄴ 으로 표현되지만, ㅇ 으로 가능하고 결국
ㅎ이라는 것입니다.
삻히 에서 아- 가 앞에 붙어 아르스랑, 아슬랑 이 된 것입니다.
그래서 한자어에 영향을 거의 받지 않은 몽골어도 참조 하건데, 우리말
'삻히' 에서 나온 사자라고 봅니다.
3. 베트남어 sư tử[수 뜨]
http://vndic.naver.com/#/entry/viko/1392617
한자어지만, 원래는 우리말에서 온 것입니다.
사히-->사자-->수 뜨
4.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sing[싱아]
http://iddic.naver.com/#/entry/idko/432981
역시 우리말 '삻히' 에서 나온 '싱아'
인도네시아어가 한자어에 영향을 받지는 않았습니다.
5. 태국어 สิงโต[S̄ingto][싱토]
http://thdic.naver.com/#/entry/thko/1320059
역시 우리말 '삻히'에서 '싱토'
6. 그리스어
λιοντάρι[liontári][리온타리], 삻에서 ㅅ 생략 ㅀ 이 리온, 흟은 타리
7. 라틴어 leo[레오]
ㅀ 만 남은 레오
8. 독일어 Löwe[뢰베]
ㅀ=뢰, 흘=베
우리말 곤충과 동물의 -히가 -비로 나타나는 것과 같습니다.
सिंह[sinh][싱/싱히]
http://hidic.naver.com/#/entry/hiko/1069767
정확히 힌두어가 제 공부를 증언해 줍니닿...
정확히
종성 'ㅎ과 생략전 ㅎ 히' 이 나타납니다.
10. 타밀어
சிங்கம்[Ciṅkam][싱캄/징캄]
즉 사는 싱/징, 흟은 캄
11. 구자라트어
સિંહ[Sinha][싱하]
12. 칸나다어
ಸಿ೦ಹ[Si0ha][싱하]
13. 스와힐리어
simba[심바]
http://swdic.naver.com/#/entry/swko/713803
역시 '싷' 에서 '심', '하'는 '바'
14.스페인어
león[레온]
http://spdic.naver.com/#/entry/esko/2934614
15. 헝가리어 oroszlán[오르슬란]
몽골어 '아슬란' 과 같은 것
알고보니 모두 같은 말이지욯.
그리고 우리 -하 나라가 얼마나 넓은지 알 것입니닿...
그들과 달라혜.
'환국대동훈민정음 ' 카테고리의 다른 글
32. 기린 복습 (0) | 2018.03.18 |
---|---|
31. 물소 셔 (0) | 2018.03.17 |
29. 납 원 복습 (0) | 2018.03.17 |
28. 제비 연 복습 (0) | 2018.03.17 |
훈민정음 의 정음? (0) | 2018.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