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3. 17. 00:35ㆍ환국대동훈민정음
27. 까치 작(鵲) 복습
옛말은 '가치', 방언으로 '간치, 까챙이, 깐치, 깐챙이' 를 네이버 사전에서
제시하고 있습니다.
원어는 '갛히/ 갏챟히' 정도라고 추정할 수 있습니다.
보통 까지 작(鵲)만 생각하시지만,
우리말 '깐치'의 '깐' 그대로
까치 간(鳱)
이 있습니다.
http://hanja.naver.com/hanja?q=%E9%B3%B1&cp_code=0&sound_id=0
만약 깐치 간 鳱
이라 했다면 고개를 갸웃했을까효?
챟에서 ㅊ, 혹은 흻의 ㅎ 에서 ㅈ, 작(鵲)
1. カササギ[Kasasagi][카사사기].
갏칧 에서 갏은 카사, 칧은 사기
2. 몽골어 Шаазгай[샤즈개], 흟 부분 즉 일어의 사기 부분이 앞으로 와서 '사즈'가 됩니다.
까 부분은 개
http://mndic.naver.com/#/entry/mnko/1848798
3. 베트남어 chim ác la[침 액 라]
https://translate.google.com/#vi/en/chim%20a%CD%81c%20la%CD%80
베트남 정도에 오면, 환국어가 완전히 달라집니다. 그래서 모두 보물을 찾지 못하게 됩니다.
새의 원어는 'ㅅ힗' 이니 ㅅㅎ 이 ch- 가 되고 ㅎ은 m 입니다.
우리말 싷--->베트남 침, 게다가 새가 앞으로 와 버립니다.
우리와 베트남은 문구 형성 과정 이전에 분리 되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액 라는 더 심합니다.
간 에서 ㄱ이 사라지면, 액,
흘에서 ㅎ이 라 , 이렇게 변음된 것입니다.
물론 베트남에 언어 천재가 나와서 고대 베트남어를 참조해서 한국어를 찾아 올 수 있지만,
거의 불가능합니다. 단지 한길은 한국어 구사하는 사람이 이주한 선조들의 길을 따라 가면
혹은 문화 파급의 길을 따라가면 이해할 수 있습니다.
4. 힌두어 मैगपाई[maigapaee]
[맥파이/매가파이]
즉 영어 magpie, 우리말 가치의 가 는 mag 의 g, 희는 pie
ㄱㅎ에서 ㅎ이 앞쪽에 매ma-
5. 라틴어 pica[피카]
http://ladic.naver.com/#/entry/lako/573198
정확히 우리말 '가히'를 돌린 '피카' 가 나오게 됩니다.
6. 그리스어
κίσσα[kíssa][키사]jay, magpie
가=키, 히=사
심지어 그리스까지도 엇비슷하게 전해졌습니다.
7. 독일어 Elster[엘스터]
http://dedic.naver.com/#/entry/deko/2722458
까의 엘El-, 히의 ster
우리말 ㄱ이 서양제어에서 사라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원래는 gelher--->gelster--->elster 이런 변화 과정입니다.
그리고 별의 '별흻'에서 '흻'의 스타 star 도 잘 보여줍니다.
독어 방언 Atzel[아쩔]
http://dedic.naver.com/#/entry/deko/2709312
ㄱ 만 앞에 넣으면 거의 한국어 가 됩니다.
8. 핀란드어 harakka[하랔카]
'흘 까'가 정확히 나타납니다.
9. 폴란드 sroka[스로카]
http://pldic.naver.com/#/entry/plko/932273
흘이 스로 sro-, 까는 카
주로 흘/히 가 뒤에 붙은 것이 표준어 이니
앞에 나간 서양어들은 모두 우리말 다음의 변음이라는 것입니다.
우리말 남에서 북으로 진행한 방언에 나타나는 경향입니다.
#̀
이제 우리말 '까치'가 독어로 '엘스터' 인줄 아시겠지요. 영어는 맥파이 ....
'환국대동훈민정음 ' 카테고리의 다른 글
28. 제비 연 복습 (0) | 2018.03.17 |
---|---|
훈민정음 의 정음? (0) | 2018.03.17 |
26. 꿩 치 복습 (0) | 2018.03.16 |
타고르 (0) | 2018.03.16 |
25. 상어 복습과 증명 (0) | 2018.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