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1. 16. 10:08ㆍ명도전 문자 연구
조선통보로 고려 화폐의 重을 살피다.
세종께서 만드신 조선통보(朝鮮通寶)는 여기에서
보시다 시피 두 가지 크기 종류입니다.
http://blog.naver.com/coinman1492/13067729
큰 것과 작은 것이 있습니다.
저는 세종께서나 당대 화폐 관련 업무를 담당하셨던
분들이 고려의 동국,해동,삼한 통보(通寶)와 重寶를 보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면
이 중(重)을 두 번째로 나온 귀중한 화폐라는 뜻 외에
낮은 단위의 아이와 같은 돈인 동(重, 童)으로 이해하셨다면,
조선통보에 두 가지 크기가 있게 되는 것입니다.
그런데
하필 작은 단위의 의미인 동(重) 이 고려 화폐에 중(重)으로 쓰였을까요?
우연이라 하기에는 비밀이 있을 것 같습니다.
만약 낮은 단위의 자(子), 높은 단위의 모(母)라는 의미가 아니라면,
고려의 세 가지 화폐 모두 통보(通寶)라고만 해야지 왜 중보(重寶)를
두었을까요?
http://blog.naver.com/yhw6015/120046743001
여기에 이 분의 글에는
동국통보는 동국중보와 더불어 고려 목종 원년 998년에 발행했다고 합니다.
만약
같이 발행했다면,
이는 기자조선의 상문과 문, 자모전(명도전의 좌우, 흐도전의 좌우)의 전통을 이어오는
것이고, 중(重)은 독음을 동(重)으로 해야하는 것입니다.
왜 그러면
동(童)으로 안했는가?
여기에는 한자를 적을 때, 좋지 않은 의미는 피하려고 하는
어른들의 지혜입니다.
동(童)은 아이라는 뜻 외에 어리석다라는 뜻도 있습니다.
그러니
국가에서 발행하는 돈이 어리석은 아이 돈이라고 해석되는 동(童)은 피하고
귀중하다, 소중히 하다 라는 의미가 들어 있어
소중하고 귀한 낮은 단위의 돈의 의미인 중이자 동인 글자
重
을 선택한 듯 합니다.
조선시대 세종께서나 화폐 주조 관련 학자들께서는 당연히
한자의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시고,
큰 크기와 작은 크기의 조선통보가 있는 것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명도전 문자 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원절식 명도전 고조선때 제작된 우리화폐 (0) | 2009.01.16 |
---|---|
일월전(一月錢) 혹은 월전(月錢)이 연나라 일화전(一化錢)으로 둔갑된 증거 (0) | 2009.01.16 |
특보: 명도전의 "흐" 문양은 조선의 조(朝) (0) | 2009.01.15 |
조선통보라는 옛날 돈이 기자조선 시대에 있었습니다. (0) | 2009.01.14 |
여기 이 동전이 마한(馬韓)에서 주조한 기원전 109년 동전이 아닐까? (0) | 2009.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