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수도 화폐문 연구(641)
-
한자로 오인하는 어려운 문자, 모음으로 해석하기
한자로 오인하기 쉬운 문자인 上은 ㅡ 에 2획이 위로 간 것으로 요즈음의 [요]입니다. 물론 정확한 음가는 [요에 반음 더한 길이]입니다. 下는도 ㅡ 아래 2획 내려간 것으로 [유]입니다. [유에 반음 더한 길이]입니다. 土는 [오~]장음이고, 干은 [우~]장음입니다. ㅜ 에 약간 꼬리선이 말린 것은 [ㄹ]음가고 [..
2010.12.29 -
첨수도 모음을 훈민정음 모음으로 변환
첨수도 모음을 훈민정음 모음으로 다시 변환해 보았습니다. ㅡ 은 근본 단모음입니다. 二는 훈민정음에서 점 두개에 해당합니다. 三은 여러 모음 표시로 만들어 보았습니다.
2010.12.28 -
칸과 나무
#은 이전에 [칸]이라 했습니다. 설명이 부족했습니다. X가 [ㅋ], 다시 X는 [ㅏ]음가의 ㅅ 에 V[ㄴ]음가. 밑에 나무도 나는 그대로 ㅁ 을 줄여ㅡ 로 만들어 그림에 일치시킵니다. http://blog.daum.net/daesabu/18284329
2010.12.27 -
첨수도 모음은 훈민정음 모음
二 아래 점, 三아래 점은 곧 훈민정음 장음 표시입니다. 훈민정음에서는 기준을 ㅣ 로 세우고 길이 표시를 점으로 했지만, 원래 길이 표시는 점이 아닌 ㅡ 으로 했습니다. 소리의 길이 표시는 점이 아니라 선이 좀 더 바람직 합니다. 아래 붉은 색 표시 옆에 초록색은 현 한글로 표시한 것입니다. 즉 소..
2010.12.27 -
점선 모음 첨수도 문자 세부 설명
위 동그라미는 현재 발견된 점선 모음 문자입니다. 이 문자를 토대로 발견되지 않는 문자를 추리하자면, 오른쪽 문자가 되고, 훈민정음의 모음 기호입니다. ㅡ 이 기본으로 되어 있으므로 ㅣ 로 바꾸고 점을 왼쪽 오른쪽, 아래에 찍어 표현할 수 있습니다. 즉 훈민정음과 구결 점선토 문자는 모두 첨수..
2010.12.26 -
첨수도 모음의 변용 2010.1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