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수도 화폐문 연구(641)
-
침수도-빗자루와 부채
침수도 중국학자들은 초 屮 에 배당합니다. 그럴 수 밖에 없습니다. 한자와 형태가 그대로입니다. 하지만 상형한글로 보면 ㅣ 는 [이]음가를 기준으로 단음입니다. 빗자루, 부채, 피다, 풀의 '푸' 부분이 나옵니다. 소리문자라면, 훈민정음의 '파 蔥'입니다.
2016.01.21 -
첨수도-배
첨수도-배 사람의 배, 물 위의 배 ㅅ 을 돌려서 보면 '소'를 형상화 했다고 보아도 됩니다.
2016.01.21 -
침수도-양
침수도-양 양도 중요한 가축이니 문자를 만들었을 것입니다. 양 머리가 특징입니다.
2016.01.21 -
침수도첨수도 다시 해석
침수도의 U 모양새는 밥 혹은 밭 중간에 十은 물길이면서 반듯한 논, 외곽은 밭 논밭 혹은 논 이전에 '보리'라고 읽은 문자는 '벼' 벼 라고 읽은 문자는 '띠' 그림 속에서 벼는 둥근 모습으로 잘 자라야 된다는 것이고 띠는 날타로운 잎을 가지고 있어 그 미묘함을 살렸다고 봅니다.
2016.01.21 -
첨수도-물레
첨수도-물레 占을 맷돌의 '매'로 보았습니다. 문자를 돌리면, '물레'의 '물'로 읽어도 됩니다.
2016.01.21 -
첨수도-구멍
첨수도-구멍 도형의 구멍은 사람 신체의 구멍을 말합니다. 물론 소리문자로 아래 아가 되기도 합니다.
2016.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