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경상전라충청강원탯말=>북한산동(8196)
-
고려?
고려(考慮) 생각하면서 가려보고 헤아려 봄 가려와 헤아려의 '려' 가 '려(慮)'
2016.07.04 -
배우다의 한자어는?
배우다의 옛말은 '배호다' 입니다. 여기서 이미 학(學)을 찾았습니다. 배는 무엇일까요? 짝을 맞추는 것이 공부이지요. 질문에 답을 짝지우는 것이 공부입니다. 짝 배(配) 배호다=배학 (配學) 짝이란 원래 형체보다 곱배기로 됩니다. 배(倍) 그래서 배달나라인 것입니다. 엄청난 지적 놀이로..
2016.07.04 -
더 놀라운 것을 보여드리지요.
짝 배(配)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16541000 제주 방언 '베' 즉 은어로 세속에서 '배'를 맞춘다는 것입니다. 한자어로는 '배필'이고 '배우자' 입니다. 놀랍지예. 중국인들이 뭐라 답할까요? 제 생각에는 그냥 주저 앉을 것 같은데요. 누가 스승이고 제자인가? 스스로 질문해보세요.
2016.07.04 -
베
베란 볕의 경상도 특히 경남 사투리이다. 베에서 볕이 나오고, 베는 하늘에서 '별'이 되고, 한자음에 흰 백(白)이 되었다. 하늘에 있는 별들 숫자가 많다는 의미에서 빽빽하다는 백(百)이 되었다. 베의 기운을 가지고 자라는 곡식은 '벼' 이다. 베는 과일의 배이다. 과일 중에 해달별과 견줄 ..
2016.07.04 -
2016년 7월 4일 오후 03:49
나는 고등학교 시절 '단'을 읽은 후, 우리가 중국문화 아래에 있다고 생각해 본적이 거의 없다.
2016.07.04 -
논 농(農)
제가 찾은 많은 백미의 단어가 있습니다. 그 중 하나입니다. 논은 분명 우리말입니다. 한자어 '농(農)', 우리말 '논' 그대로지예. 한자 종성에 ㅇ 음가를 많이 쓴 것은 해달별 하늘나라 한국에서 온 언어라는 것입니다.
2016.0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