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도전 문자 연구(823)
-
1427년과 1446(1443년,1444년 설도 있음)년
1427년과 1446(1443년,1444년 설도 있음)년 무슨 일이 일어 난 해 일까요? 또 어느 왕이 계셨을까요? 답: 조선 세종이 계셨습니다. 1427년은 조선통보(朝鮮通寶)를 발행한 해입니다. -이도 큰 업적인데 잘 알려지지는 않았습니다.- 1446년은 훈민정음(訓民正音)을 선포한 해입니다. 즉 세종께서 화폐 발행을 위해 ..
2009.01.17 -
자모 결합으로 본 명도전 한글 자모 위아래 결합
자모 결합으로 본 명도전 한글 자모 위아래 결합 1) 은 "시" 로서 ㅅ 옆에 ㅣ 붙은 지금 한글과 같습니다. 2) 은 "Sㅣ" 로서 영어알파벳 S 와 옆에 ㅣ 붙인 것입니다. 그런데 다음의 내용들은 모두 한글 자모 위아래 결합입니다. 특히 ㅅ 아래 ㅓ 결합 , ㄴ , ㄷ, ㅅ , ㅇ 아래 ㅣ 혹은 ㅗ를 붙입니다. 3) 이 전에..
2009.01.17 -
명도전에 있는 가림토-2
명도전에 있는 가림토-2 다음은 여러 가지로 해석되는 X입니다. 1. 이전에 제가 천간의 계(癸)로 보거나 숫자 10 혹은 5 로 보았던 문자입니다. 가림토 문자이기도 하고, 영어 알파벳이기도 하지요. 2. 凵(주로 영어 알파벳 U 모양으로 되어 있음) 물론 은문한자로 읽어면 20입니다. 1) U 가 두 개 들어 있습니..
2009.01.17 -
명도전에 있는 가림토
명도전에 있는 가림토 마음에 준비는 되셨나요? 먼저 가림토와 한글을 비교한 자료를 보시겠습니다. http://blog.daum.net/daesabu/10437362 1. 가장 독특한 문자입니다. 거의 전 세계 어느 문자에도 없는 ㅿ 위에 수평선을 그은 모양입니다. 명도전 입니다. 1) 왼쪽 위 문자는 달 월(月)입니다. 十 은 7 이 유력한데,..
2009.01.17 -
한민족에게고함:자모전(子母錢)은 자모자전(子母字錢)이고 명도전(明刀錢)
자모전(子母錢)은 자모자전(子母字錢)이고 명도전(明刀錢)이라. 위대한 고조선에서 만든 명도전을 조선시대 한치윤 할배님께서 기자조선에 자모전(子母錢)이 있다고 하셨다. 이는 자모자전(子母字錢)이라고 처음에 짐작했다. 자모는 단어 뜻 그대로 글자의 닿소리와 홀소리인 것이다. 명도전에는 한글..
2009.01.17 -
명월전이 명화전으로 둔갑된 이유는 무엇일까요?
여기서도 일화전(一化錢)은 일월전(一月錢) 혹은 문월전(文月錢)으로 명화전(明化錢)은 명월전(明月錢)으로 용어 수정해야 합니다. 화폐의 국적을 떠나 월(月)이 분명한 문자를 화(化)라고 칭한 의도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자료를 한 번 더 보시겠습니다. http://blog.daum.net/daesabu/17440537 왼쪽에 있는 월(..
2009.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