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군조선 한글 공동연구(428)
-
293. 부채a fan; a folding fan (쥘부채), 선(扇)
부채a fan; a folding fan (쥘부채), 선(扇) 부채도 찾은 듯 합니다. 이전에 "매a hawk; a falcon (수렵용의)" 와 "떡메" 라고 해석한 문자 안에 들어 있었습니다. 아래서부터 올라갑니다. ㅂ은 [ㅂ]음가에 얼굴입니다. 중간은 [ㅜ]인데, 부채질하는 손입니다. 맨 위는 [채]로서 , 접을 수 있는 부채를 표현합니다.
2009.10.11 -
292. 호롱불-불
호롱불-불 중국 학자들은 이 문자 위의 문자를 中, 이 문자를 昌, 다음 문자를 一 이라고 한 문자에 있습니다. 자료상으로는 昌만 보입니다. 중국 한자라고 착각을 하고, 하나씩 떼어 내었기 때문입니다. 이 문자는 호롱불의 기름 그릇에 불이 있는 모습으로 보입니다. 여기서 기름은 동물기름입니다. 이..
2009.10.11 -
으름
과일 중에 "으름"도 있군요. http://krdic.daum.net/dickr/contents.do?offset=A030186900&query1=A030186900#A030186900 그러면 대충 "으름" "얼음" "여름(과일)" "녀름summer" 등의 문자가 맞아지는군요.
2009.10.09 -
291. 썰매
확실한 썰매 타기이지요. 작대기도 보입니다. 도무지 한자가 아니지요. 이전의 썰매 입니다. 썰매의 한 종류이거나 다른 문자일 수 도 있습니다.
2009.10.07 -
290. 말안장
290. 말안장 안장(鞍裝) a saddle. 역시 이전에 보여드렸던 문자들과 다릅니다. 중국 학자들은 虍 아래 金이라 합니다. 선진화폐문자편 , 75쪽 이전에 "말가리개" 라고 한 문자입니다. http://blog.daum.net/daesabu/18284487 사진으로 보아도 아직 선명합니다.
2009.10.04 -
289. 회초리
289. 회초리 회초리a whip; a rod; a switch; a cane (등․대나무 따위의) 설명 안드리도 되겠지요. http://krdic.daum.net/dickr/contents.do?offset=A043756300&query1=A043756300#A043756300 이 문자는 벌로 회초리를 치고 있는 모습이고, 벌을 받는 사람은 무릎을 꿇고 벌을 받고 있습니다. "회초리" 라는 상형 한글문자를 중국 학자들은 ..
2009.1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