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조선문자 계통도(111)
-
거울과 눈썹
거울과 눈썹 1. ㅇ 는 소리 문자로 [오] 혹은 [우], 상형으로는 ‘해’‘얼굴’등과 같은 둥근 모양새 2. ⊙ 은 소리문자로 [오]나 [우]의 아래 소리, 상형으로는 눈으로 봅니다. 점을 [ㄹ] 음가라고 보면 [울(타리)]이 되어 점을 중심으로 울타리를 친 모습입니다. 3. 첨수도 위의 문자..
2012.01.12 -
나팔꽃 만들기
나팔꽃 만들기 1. 선진화폐연구, 262쪽, 중국학자들은 八九라고 읽고 있습니다. 그러나 八이란 문자를 방향 전환해서 적을 리도 없습니다. 2. 이 문자는 V[ㄴ], ㅡ 은 [아]입니다. 위 문자는 [팔]입니다. ʃ는 [ㄹ]발음 음가입니다. 3. 최근 고천원지 사진에서 나온 첨수도 문자입니다. 4...
2012.01.11 -
ㅍ 소리에 맞추어
ㅍ 소리에 맞추어 본 고조선 한글 4. 표의 아래부분 ㅗ 를 자음 [ㄴ]으로 본다면 [판]으로도 읽을 수 있습니다.
2012.01.11 -
엷은 ㅂ 소리에 맞추어
엷은 ㅂ 소리에 맞추어 1. 凵소리는 [ㅸ] 음가인데, 편의상 ‘ㅂ’ 으로 하겠습니다. U 도 동일하다고 봅니다. 2. 凵에 중간 선을 그은 모습인데, 중국고문대집 甲 83쪽, 침수도에 쓰인 문자로서 [비]를 표현합니다. 3. 凵아래 ㅗ 는 2획이니 [부~]나 [보~]로 읽어지며, ㅗ 를 자음으로 본..
2012.01.11 -
ㅜ 로 부터
1) T 는 자음으로 [ㄴ]음가이고, 모음으로는 현재 한글 모음 ‘ㅜ’ 와 같습니다. 증거 사진자료 출처: 고천원지 2) 이 문자는 이른 고조선 칼돈에 나오는 문자인데, 중국에서는 丏(면: 가리다,토담)으라 읽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 문자 위에 무엇인가 붙인 문자를 숫자로 보고 二丏, ..
2012.01.11 -
고조선 문자 계통도-73
고조선 문자 계통도-73 1. 2. 3. 선진화폐문자편, 304쪽, 부엉이의 상형 그림이라고 봅니다. 아래 문자는 고천원진 사진 속의 자료인데 아래서 위로 읽습니다. 소리문자를 상형으로 만든 문자인데, 위는 부엉이 얼굴, 아래는 나무라고 봅니다. 4. 훈민정음 해례본 용자례(用字例) 5. 부..
2012.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