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조선문자 계통도(111)
-
고조선 문자 계통도-76
고조선 문자 계통도-76 1. 2. 凵, 고천원지 사진 자료에서 2개나 찾았습니다. U 는 [ㅎ]음가 중 하나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3. 凵, 고조선 칼돈 문자 중에서 추출한 문자입니다. 4. ᄫ 5. 엷은 ㅂ 이지만, 편의상 [ㅂ] 음가라고 하겠습니다. 6.
2012.01.14 -
고조선 문자 계통도-75
고조선 문자 계통도-75 1. 2. ㅁ 모양새가 선진화폐문자편과 'civil' 님의 자료에는 있으나, [ㅁ]음가에 특정하여 사용한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물고기가 [ㅁ] 음가를 표현했다고 봅니다. 상형 물고기와 겹치므로 더 연구해야할 부분입니다. 3. 물고기를 [ㅁ] 음가의 대표로 하였는데, ..
2012.01.14 -
못 이라 읽어 보면서
못 이라 읽어 보면서 2. 중국고전대집, 갑, 86쪽 , 처음에는 개라 읽었으나 날카로운 모습이니 ‘못’ 이라 읽어 봅니다. 3. 먹, 물 등으로 읽어 보았으나, ‘못~’ 이란 소리문자라고 봅니다. 4. 못
2012.01.14 -
하다 동사
하다 동사 1. 리다 2. 리기 3. 하다 4. 하기 5. 다 6. 기 ㅂ 과 工 을 빼면 ‘다’라는 동사가 나옵니다. 즉 형용사형 --은, 명사형 --ㅁ 이 문장 맨 뒤에 가면 바로 동사가 됩니다.
2012.01.13 -
右七의 비밀
右七의 비밀 1. 2. 첨수도 위의 ‘연날리기’ 문자입니다. 3. 연날리기의 고조선칼돈 문자입니다. 4. 날리기의 고조선칼돈 문자입니다. 중국에서는 右七이라 해석합니다. 5. 연날리기 6. 右七
2012.01.13 -
고조선 문자 계통도-74
고조선 문자 계통도-74 1. 2. 최근 ‘고천원지’ 사진 속의 연날리기에서 나온 2개의 필체의 ‘연’입니다. 3. ‘civil' 님 자료 중의 '연날리기' 중의 ’연‘입니다. 4. 연(鳶) 5. 6.
2012.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