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47243)
-
ㆅ/ㆁㆁ의 이치를 깨달았습니다.
ㆅ/ㆁㆁ의 이치를 깨달았습니다. 훈민정음에는 ‘ᅘᅧ 爲 引’이 있고, 한자어로 넓을/클 ᅘᅩᇰ(洪)’이 있습니다. 조선 초의 한자음에 많이 등장하는데 ‘슬기 혜’의 ‘ᅘᆒᆼ’이 대표적인 단어입니다. ㆅ은 어디에서 왔을까 하면서 이전에도 태고어 출연에 대응시키기도 했습니다. 이제 다시 그 음가를 추론해 보겠습니다. ‘넓다’ ‘크다’의 우리말 합용 병서는 ㅅ을 붙여야 하니 ‘ᄮᅥᆲ다/ᄭᅳ다’가 원형입니다. 여기서 더 나갈 수 없는데 다행히 서양어에서 그 단서를 찾을 수 있습니다. 우리말 ‘소리’의 ㅅ은 ㅅㆁ 이니 sh-되어 서양어 중 영어에 shout로 나타납니다. 다음 독어 단어는 sh가 sch인 schreien [쉬라-이언]입니다. 그러면 태고어로 ㅅㆁ 2개가 아닌 ㅅㆁㆁ이 되어야 하는 것입니다. 원래부..
2023.01.19 -
근원 음가 ㆁ 의 고찰
근원 음가 ㆁ 의 고찰 ㆁ 표시는 보통 ‘꼭지 ㅇ’이라 하는데 현재는 사라지고 보통 현재 ㅇ으로 남아 있습니다. 우리말 안에서 ‘사랑하다’의 ‘ᄉᆞ라ᇰᄒᆞ다’, ‘꿩’의 ‘ᄭᅯᇰ’, ‘만들다’의 ‘ᄆᆡᇰᄀᆞᆯ다/ᄆᆡᇰᄃᆞᆯ다’가 남아 있습니다. 훈민정음에는 초성에 ‘달(獺)’의 ‘러ᅌᅮᆯ’, ‘굼벵이’의 ‘굼버ᇰ’, ‘올챙이’의 ‘올차ᇰ’, ‘잉아’의 ‘이ᅌᅡ’도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한자어에는 조선 초기까지 많은 한자어에 ㆁ이 남아 있습니다. 훈민정음에 ‘ᅘᅩᇰ(洪)’이 있고, ‘월인석보’에 ‘ᅌᅯᇙ’이 대표적이고 많은 한자어에 ㆁ이 남아 있습니다. 참고 출처: 쉽게 읽는 월인석복9, 나찬연님, 경진출판 1. 월(月)=ᅌᅯᇙ, 초성에 있습니다. 2. 오(五)=ᅌᅩᆼ, 초성에 있습니다. 여기서 우리..
2023.01.19 -
쌓다, 쌓을 축(築)의 티벳어 고찰 첨가
티베트어-한글 사전, 전재성 편저, 한국빠알리성전협회, 334쪽>> 우리말 ‘꿰매다’에 해당하는 한자어 ‘철(綴)’하다가 있고, 유사어로 ‘쌓다’가 있습니다. ཅེར[cerf/첼] =쌓다, 철하다 [ཅེར བཅེར/ cer bcer/첼 ᄨᅦᆯ], 사전에는 2마디의 표현이 있는데 서술동사형의 ‘첼’의 오른쪽 편에 원래 표현이 존재하는 형태입니다. 고대로 거슬러가면, 3마디이니 원래는 ཅེར-བཅེར-བཅེར이고, 우리말로 표현하자면 ‘쌓다-차곡-차곡’이고, ‘차곡-차곡’을 한자어로 하자면 ‘쌓다-착-착’ 구조입니다. 물론 현대 우리말은 ‘차곡차곡’이 ‘쌓다’ 앞에 오는 구조입니다. ‘쌓다’일 경우 한자어는 ‘축(築)’이고, ‘꿰매다’의 경우 우리말 ㅺ 이 ㅈ/ㅊ의 ‘철(綴)’과 티벳어 ‘첼/쩰’이..
2023.01.18 -
explore 와 explode 구별
explore 와 explode 구별 explore[익스플로-어]는 ‘답사하다/탐험하다’입니다. ‘답사(踏査)’의 ‘답(踏)’은 ‘밟다/디디다’이니 ‘더듬어 밟아 디디다’의미인 것입니다. ex + plore =explore 밖으로 + 더듬어 밟아 디디다 explode[익스플로-드]는 ‘터지다/폭발하다’입니다. ex 는 ‘밖으로 터지다’이고, ‘터지다’의 ㅂ 의 ㅍ이 ‘폭발(爆發)’입니다. ‘-하다/-다’가 정확히 –de 로 나타납니다. ex + plode=explode 밖으로 + 폭발(爆發) + 하다/다 문자로 보면 r은 ‘수풀’이고 ‘답사한다’라고 인지하시고, d 는 ‘폭탄에 심지가 올라온 모습’으로 인지하시면서 구별하면 됩니다.
2023.01.18 -
‘내뱉다’와 express 관련 고찰
‘내뱉다’와 express 관련 고찰 보통 ‘내뱉다’의 영어 단어로 spit/blurt out 정도 외우고 넘어갑니다. 그런데 ‘표현하다/나타나다’의 express와 관련이 있습니다. 여기서 우리는 합용 병서의 이치를 잘 알아야 합니다. ‘밖’이란 단어의 ㅂ은 ㅂㆁ에서 ㅂㄴ 되어 ㄴ의 ‘나가다/나타나다’의 ㄴ 이 되고 ㅇ 되어 한자어 ‘외(外)’가 되고 라틴어와 영어 접두어 ex-가 됩니다. ‘밷다’는 ‘말하다’의 ㅂ입니다. 그러니 –press는 ‘말하다’의 ㅁ의 ㅍ이고, ‘말하여 밝히다’의 ㅂ의 ㅍ이기도 합니다. 밖으로 + 말하다=발표하다 ex + press=express 발(發) + 표현(表現) 한자어로 ‘발표(發表)’와 ‘표현(表現)’이 되는 것입니다. 영어 단어는 의미에 d/t 대신 –s가 붙은 ..
2023.01.18 -
교섭하다 티벳어
티베트어-한글 사전, 전재성 편저, 한국빠알리성전협회, 195쪽>> གོ་ སྡུར [gu v du f/ 구 두]명사> 의논, 상의, 토의, 교섭, 협상 문자 상 소리 표기: [go sdur/ 고 ᄯᅮᆯ] གོ་ སྡུར་ བྱེད [gu v du f jew/ 고 ᄯᅮᆯ 유]동사> 의논하다, 상의하다, 토론하다, 교섭하다문자 상 소리 표기: [go sdur byeda] 문자 상으로 보면 두 번째 초성 ㄷ 앞에 ㅅ이 분명히 있고 이것이 ‘교섭(交涉)’이 됩니다. 한자어 ‘사귈 교(交)’는 우리말 ‘사귀다’의 ‘사교(社交)’ 그대로이고, ‘건널 섭(涉)’은 ㅺ에서 분리 된 것입니다. 실제 의미는 ‘말하다’이니 ‘건너다’ 보다는 ‘말하다’가 더 의미에 적합한 것입니다. ‘서로 사귀어-말씀 설(說)-하다..
2023.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