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 천 따지

2023. 1. 4. 10:09말글경

 

230skel 2., skellan skall skullum skullana =schallen

 

schallen소리나다이니 소리의 ㅅ 이 ㅺ 임을 알 수 있고, ‘소리에 관련된 4마디의 단어가 skellan skall skullum skullana[스켈란-스칼-스쿨룸-스쿨라나]입니다. 소곤-소곤-소리-(소리)나다인 것입니다. ‘소곤-소곤이 ㅺ에서 나온 것임을 정확하게 알 수 있는 입체적 자료이기도 합니다. 조금 더 소리가 높아지면 ㅺ에서 어감이 강해지고 시끌-시끌-시끄-럽다이 되는 것입니다.

 

 

다시 정리하자면 소리의 옛말은 ᄭᅩ리였고, 다시 태고어는 ᄭᅩퟛ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면 ᄭᅩퟛ에서 한자어 ()’이 나온다는 것을 더 잘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 한자어를 새기는 소리 성()’이란 방식도 2마디로 표현하는 방식 중 하나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소리 성()’의 태고어 새김은 ᄭᅩퟛ-ᄭᅩퟛ으로 현 우리말과 한자어가 같고 한자 조차도 충분히 우리 고대 문자에서 나왔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하늘 톈/, 따 지하는 4마디 혹은 2마디의 운율 방식도 아주 고대부터 내려온 공부 방식임을 알 수 있습니다.

 

2마디의 우리말 공부 방식이 중원에서는 그냥 단어만 사용하는 방식으로 ᄌᆍᆯ어든 것이라 추정할 수 있는 것입니다.

 

또 우리가 알고 있는 다양한 4자 성어도 원래는 고대 4마디의 태고어를 말하는 방식이 조어 형식으로 만들어 진 것입니다.

 

예로 복잡다단(複雜多端)’이란 우리말 북적-북적이란 마디 자리에 북적복잡(複雜)’은 그대로 들어가고, 반복되는 2번째 마디에 의미를 첨가시키는 다단(多端)’이 들어간 것입니다.

 

이렇게 고대 우리말에서 멀어진 한자어임을 4자 성어를 구성하는 법에서도 살펴 보았습니다.

 

4마디로 구성된 우리말 표현 방식

 

북적-북적-북적-대다/거리다/하다

 

3번째와 4번째 마디가 붙어 3마디로 줄어듭니다.

 

북적-북적-북적대다/북적거리다/북적하다

 

2마디의 부사가 나옵니다.

북적 북적

 

1마디의 단어가 나옵니다.

북적대다/북적거리다/북적하다

 

다음 부산을 보면 사전에 명사만 표시되어 있지만, 자세히 보면 파생어에 부산하다부산히가 있습니다.

 

그래서 원래 4마디는 이렇습니다.

 

부산()-부산()-부산-하다

 

다음 ㅄ 이 ㅇㅅ 되어 어수선이 됩니다.

 

어수선-어수선-어수선-하다

 

이렇게 우리말 동사와 형용사의 서술형 ‘-하다’  앞에는 원래 2마디의 의성어/의태어가 존재했던 것입니다.

 

 

그래서 이미 걷다도 살펴 보았듯이 걷다만 존재 하는 것이 아니라 동격의 걸음-하다가 있고 그 앞에 걸음-걸음혹은 더 태고어 발걸음-발걸음이 있었던 것입니다. ‘먹다의 경우는 입으로--씹어 먹다가 될 것이고 이고 영어 단어가 초성에서 일치하는 mouth가 되는 것입니다. ㅯ에서 ㅁ은 먹다’, ㅅ은 씹다()’이 됩니다. ‘꼭꼭은 원래 ᄭᅩᆨ-ᄭᅩᆨ임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이런 식으로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단어는 1개이지만, 2개의 의성어/의태어를 통해서 기본적으로 4(3)개를 중심으로 고대에 존재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견주다의 예를 들겠습니다. 우리 옛말에 견조-ᄧᅳ다‘-하다의 고어가 그대로 남아 있습니다. 어떻게 견주어 보는 가는 동의어로 나타납니다. ‘겨누다’ ‘가늠하다’ ‘대보다로 파생되고, ‘견조-ᄧᅳ다경쟁(競爭)-하다로 파생되는 것입니다.

 

겨누다/겨루다-대보다/재보다-견조-ᄧᅳ다

 

이런 기본적인 4마디(3마디)에서 합용병서 ㅂ을 추가 하면 비교(比較)하다와 우리말 사투리와 다양한 동의어와 전 세계어가 나오게 됩니다.

 

 

소리를 좀 더 고찰해볼까요?

 

소리가 나오는 신체 부위는 입니다. 그래서 걸음앞에 을 붙이듯이 을 소리 앞에 붙이면 소리-소리-소리-내다에서 (으로)-목소리-목소리-내다가 되는 것입니다. ㅁ 다음 ㄱ 있으니 한자어는 ㅁㄱ에서 목 경()’이 되고,ㄱ에서 ㄴ 된 것이 영어 단어 neck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