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독어: 소리 성의 비밀

2023. 1. 4. 10:05한국어=독어

 

Wörterbuch der Indogermanischen Sprachen

Dritter Teil:

Wortschatz der Germanischen Spracheinheit

by August Fick with contributions by Hjalmar Falk,

entirely revised by Alf Torp in 1909.

 

 

 

230skel 2., skellan skall skullum skullana =schallen

 

schallen소리나다이니 소리의 ㅅ 이 ㅺ 임을 알 수 있고, ‘소리에 관련된 4마디의 단어가 skellan skall skullum skullana[스켈란-스칼-스쿨룸-스쿨라나]입니다. 소곤-소곤-소리-(소리)나다인 것입니다. ‘소곤-소곤이 ㅺ에서 나온 것임을 정확하게 알 수 있는 입체적 자료이기도 합니다.

 

 다시 정리하자면 소리의 옛말은 ᄭᅩ리였고, 다시 태고어는 ᄭᅩퟛ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면 ᄭᅩퟛ에서 한자어 ()’이 나온다는 것을 더 잘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 한자어를 새기는 소리 성()’이란 방식도 2마디로 표현하는 방식 중 하나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소리 성()’의 태고어 새김은 ᄭᅩퟛ-ᄭᅩퟛ으로 현 우리말과 한자어가 같고 한자 조차도 충분히 우리 고대 문자에서 나왔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