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독어: 껍질= ‘skaloˆ[스칼로]’
2023. 1. 4. 09:53ㆍ한국어=독어
229쪽 skaloˆ =f. Schale, Hülse
이미 ‘껍질/껍데기’와 영어 단어 skin을 대응시킨 바있고, 옛말에 ‘ᄭᅥᆸ질’도 정확히 나옵니다. Schale[샬러]와 Hülse[휠저]는 ‘껍질’이란 뜻이고, 고어는 skaloˆ[스칼로]입니다. 고어 원형 ‘ᄭᅥퟛ’에서 우리말은 ‘ᄭᅥᆸ질’로 고대 서양어는 ‘skaloˆ[스칼로]’가 된 것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여기서 ‘껍질’의 정체를 알 수 있는데 알맹이나 본 몸체를 숨기는 역할을 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숨기다’에서 우산의 우리 옛말 ‘슈룹’이 나오고 독어 단어로 Schirm[쉬엄]이 되는 것입니다.
'한국어=독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대 독어: 떨다=skelban skalb[스켈반-스칼브] (0) | 2023.01.04 |
---|---|
고대 독어: 소리 성의 비밀 (0) | 2023.01.04 |
고대 독어: 긁다/썰다= skerzan skarz[스케르잔-스카르즈] (0) | 2023.01.04 |
고대 독어: 짧은=skurta[스쿨타] (0) | 2023.01.04 |
고대 독어: 집=salaz[살라즈]/saliz[사리즈]/sali[사리] (0) | 2023.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