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독어 : 구부리다

2023. 1. 2. 19:07한국어=독어

 

 

Wörterbuch der Indogermanischen Sprachen

Dritter Teil:

Wortschatz der Germanischen Spracheinheit

by August Fick with contributions by Hjalmar Falk,

entirely revised by Alf Torp in 1909.

 

 

 

141(buh), bug, beugan baug bugum bugana =biegen

 

영어 단어는 bow/bend가 된 단어로 굽히다입니다. 우리말은 구불 구불 구부러지다인데 ㅲ에서 ㅂ 이 분리 되어 나타난 시원 서양어입니다. beugan baug bugum bugana [보이간-바욱-부굼-부가나]인데 지금 우리말로 고치자면 구불-구불-구부림-구부리다가 되는 것입니다.

 

'krümmen': 네이버 독일어사전 (naver.com)

현대 독어에도 krümmen[크뤼멘]으로 남아 있습니다.

우리말 ㄱ-ㅂ 이 ㅋ-ㅁ 된 단어입니다.

 

 

위 시원 서양어 표현보다 더 태고어는 ㅲ의 bgeugan bgaug bgugum bgugana가 되는 것입니다. 만약 우리말 표현이 구불 구불이 아닌 부불 부불이라 남아 있어도 우리말과 서양어 사이를 이해하기 힘들었을 것입니다.

 

 

한자어는 이미 발표했듯이 굴곡(屈曲)지다입니다.

 

다시 정리하자면 우리말 구불 구불 굽이 구부러지다의 옛말은 ᄞᅮ불 ᄞᅮ불 ᄞᅮᆸ이 ᄞᅮ부러지다bgeugan bgaug bgugum bgugana을 거쳐 beugan baug bugum bugana [보이간-바욱-부굼-부가나]가 되고 최종 현대 독어 biegen[비겐]과 영어 단어 bow가 되는 것입니다.

 

구불 구불을 영어로 하자면 curve-curve이고, 독어로 하자면 krümmen-krümmen입니다.

한자어는 -이고, 일어는 くねくね[쿠네쿠네]입니다.

 

그래서 ㅂ은 어감을 조금 달리해서 삐뚤-삐뚤이 되는 것입니다.

 
 
고조선문자3, 경진출판사, 허대동 참조 

 

 

티벳어 이전 공부:

 

 

구불구불, 굽히다 티벳어 고찰 (tistory.com)
 

구불구불, 굽히다 티벳어 고찰

구불구불, 굽히다 티벳어 고찰 གུག[guw/ 구 w] 구불어지다, 구불구불하다 문자 상 소리 표기:[gug/국], 우리말 원형은 ‘굽다’이니 ‘구ퟛ’에서 우리말은 ‘굽’이 되고, 티벳어는 ‘국’이

daesabu.tistory.com

 

 

 143brek, brekan brak breˆkum brukana= brechen

 

부수다의 동의어 빠개다가 서양어에 나타난 표현입니다. brekan brak breˆkum brukana[브레칸-브락-브레쿰-브루카나]는 우리말로 하자면 빠갠-빠갠-빠갬-빠개다정도 표현입니다.

 

'한국어=독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러뜨리다=krachen[크라헌]  (0) 2023.01.02
고대 독어=반짝 반짝  (0) 2023.01.02
수영=Schwumm[쉬붐]  (0) 2023.01.01
24. 잡다/ 붙잡다=fangen[팡언]  (0) 2022.12.28
23. 덮다=decken[데-컨]  (0) 2022.1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