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와 독어 구 단위 비교 정리

2022. 12. 31. 23:19말글경

한국어와 독어 구 단위 비교 정리

 

1. 사랑하다=lieben, Liebe machen, liebhaben

 

 

'사랑하다': 네이버 독일어사전 (naver.com)

독어로 한 단어는 lieben 이지만, Liebe machen은 바로 우리말처럼 사랑/Liebe’ + ‘하다/machen’ 구조입니다. 원래는 Saliebe machen 이라 추정합니다

 

'lieb|haben': 네이버 독일어사전 (naver.com)

 

네이버 독일어사전

네이버 독일어사전 서비스, 독일어 단어 및 예문, 내가 찾은 단어 보기 기능, 독일어 문자입력기, 독일어 발음 제공

dict.naver.com

 

심지어 우리말 ‘-하다의 소리 거의 그대로 liebhaben[립하번]도 있는데 바로 saliebhaben 이었다고 추정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특히 우리말로 사랑하다사랑합니다라고 할 수도 있는데 ‘-합니다합니부분을 달리 표현한 것이 하벤/haben’입니다. liebhaben[립하번]은 바로 사랑합니()’였습니다.

합니의 종성 ㅂ이 늘어나고, ‘의 ㄴ이 종성이 된 것이 하벤/haben’입니다.

 
 

 2. 들이키다=trinken

'trinken': 네이버 독일어사전 (naver.com)

Wasser trinken.

[바써    트린켄]

물수    들이키다

 

물수바써는 ㅁ 과 ㅂ 차이 밖에 없습니다.

 
 
3. 생각하다=sinnen[진넨], denken, bedenken

 

보통 denken[덴컨]이라 하고, ㅂ이 ㄷ 앞에 있었으니 bedenken[베덴컨]입니다. ‘깊이 생각하다sinnen[진넨]입니다.

 

현 독일어에는 안 보이지만 한국어에 기준을 두고 Liebe machen, liebhaben을 참조하면 Denken machen 혹은 denkhaben 도 고어였다고 추정할 수 있습니다.

 
 
 

4. 경쟁하다=konkurrieren, im Wettbewerb stehen

'경쟁하다': 네이버 독일어사전 (naver.com)

우리 옛말 견조- ᄧᅳ다에서 한자어 경쟁하다가 되고 ㄱ-ㅺ에서 ㅋ-ㅋ의 konkurrieren[콘쿠리렌]이 됩니다. Wettbewerb[베트베베르브]경쟁이란 명사이고 전치사 im을 붙였지만 원래는 없었고 haben/machen 대신 stehen을 사용한 표현입니다.

 

 

고조선문자, 경진출판사, 허대동 참조 

 

5. 노래하다=singen, ein Lied singen

'singen': 네이버 독일어사전 (naver.com)

Lied[리트]노래인데 우리말 ㄴ이 ㄹ 된 것으로 원래는 Nied[니트]였다고 추정할 수 있습니다. ‘-하다/-부르다의 부분이 ㅅ 의 singen[징언]으로 나타났다가 singen만으로도 노래하다의미를 가지게 된 것입니다.

 

6. 제안하다 = einen Vorschlag machen

 

 

'machen': 네이버 독일어사전 (naver.com)

einen Vorschlag machen

[아이넨 포쉬락 마헨]

           제안 + 하다

 

 

 

여기서 Vorschlag제안이고, machen은 보통 만들다이지만 여기서는 ‘-하다입니다. 즉 고대 동사형 어미 ‘-붸다의 ㅂ이 ㅁ 된 것입니다.

 

7. 개혁하다=(in) et.3 Wandel schaffen

 

'Wandel': 네이버 독일어사전 (naver.com)

Wandel[반덜]변화/변경으로 우리말과 한자어 ㅂ-ㄱ의 ㅂ-ㄷ입니다. schaffenmachen과 동의어로 만들다의 ㅯ의 ㅅ인데 ‘-하다로 사용된 표현입니다

여기서 ‘schaffen’의 ㅅ음가를 우리말에 비교하자면 고맙습니다‘-습니다인 것입니다.

 

 
 
 
 

8. 신뢰하다=vertrauen (jm.), die Zuversicht setzen (auf+목적어 4)

'신뢰하다': 네이버 독일어사전 (naver.com)

동사 하나는 vertrauen[베어트라우엔]이고, ‘신뢰 +하다구조가 die Zuversicht setzen[디 주베어지히트 제쩬]입니다. ‘-하다의 의미로 setzen을 사용했는데 여기서 setzen앉다가 아닌 schaffen은 ㅅ과 같이 ‘-하다인 것입니다.

 

 

9. 제한하다=et.3 eine Grenze{Grenzen, Schranken} setzen

'setzen': 네이버 독일어사전 (naver.com)

Grenze[그뤤저]한계/한도/제한입니다. ‘-하다가 바로 setzen인데 여기서 setzen앉다가 아닌 schaffen은 ㅅ과 같이 ‘-하다인 것입니다.

 
 

10. 노력하다= sich Mühe geben

'sich Mühe geben': 네이버 독일어사전 (naver.com)

Mühe[뮈어]슬픔/수고/노력입니다. geben주다인데 여기서는 다양한 의미 중 ‘-하다에 해당합니다. 위에 제시된 ‘-하다부분에 machen/schaffen/setzen/singen/stehen이 들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우리말은 ‘-하다정도로 하나로 통일되었지만 독일어 ‘-하다는 의미에 맞추어 다양하게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11. 관리하다= Aufsicht haben [führen]

 

'관리하다': 네이버 독일어사전 (naver.com)

Aufsicht[아웊지히트]감독/감시/관리입니다. 여기서 동사 어미 부분에 führen[퓌렌]인데 지도하다입니다. 위에 보시다시피 führen[퓌렌]을 대신해 haben[하벤]을 쓸 수 있습니다. 우리말 감독하다/감시하다/관리하다가 바로 Aufsicht haben임을 알 수 있습니다. 명사 Aufsicht 의 동사형은 aufsehen 으로 auf위에서라는 표현이고, sehen은 보다로서 감시(瞰視)’인 것입니다.

 

 

'감시': 네이버 국어사전 (naver.com)

감시(監視)’와는 조금 관련 있고, ‘높은데서 보다감시(瞰視)’입니다.

 

12. 수확하다=ernten; die Ernte einbringen

 

'수확하다': 네이버 독일어사전 (naver.com)

 

 ernten[에언턴]은 한 단어로 구성된 단어인데 비교하자면 우리말 거두다정도입니다. Ernte[에언테]는 명사로서 우리말 거두어 들임이고 한자어 수확(收穫)’입니다. einbringen[아인브링엔]가지고 들어오다인데 영어로 in + bring 인 것입니다. 우리말 ‘-하다를 좀 더 자세하게 가지고 들어오다/einbringen’라고 설명한 정도입니다. 고대에는 거두다의 ㄱ의 gernten 이었다라고 추정 할 수 있습니다. 한자어까지 고려하면 sgernten 인 것입니다.

 
13. 식사하다/먹다=essen, eine Mahlzeit halten
 
 

보통 먹다essen[에센]입니다.

 

'식사하다': 네이버 독일어사전 (naver.com)

eine Mahlzeit halten

[아이네 말자이트 할텐]

 

Mahlzeit[말자이트]식사-시간인데 Mahl식사이고, Zeit/시간입니다. ‘명사 + 명사의 결합 형태도 우리말 형태입니다. halten 가지다/지키다이니 그냥 ‘-하다/-haben’의 변화형입니다. 순 우리말로 하면 밥때-가지다이고, 한자어로 하면 식사-하다인 것입니다.

 

14. 의논하다/상의하다=mit jm. Rücksprache nehmen/halten

'mit jm. Rücksprache nehmen/halten': 네이버 독일어사전 (naver.com)

Rücksprache[뤼크쉬프라허]의논/상의입니다. ‘-하다에 해당하는 부분이 ‘nehmen/halten’입니다. 결국 명사 + 하다구조입니다.

 

15. 앉다/착석하다=Platz nehmen

'착석하다': 네이버 독일어사전 (naver.com)

보통 영어로 앉다를 sit 이라 하고 숙어로 have a seat 라 합니다. 고대 영어도 독어처럼 a seat have 라 했을 것인데 바로 착석(着席)하다인 것입니다. Platz[프라츠]자리이고, nehmen은 다양한 의미를 가지는데 바로 행동하다nehmen입니다. 결국 Platz nehmen 이나 Platz haben이나 같은 의미이고, 이것은 영어 a seat have에서 have a seat가 된 것입니다.

 

16. 행복하다/행복을 느끼다=sich[4] glücklich fühlen, ein Glückgefühl haben

 

'행복': 네이버 독일어사전 (naver.com)

행복하다는 보통 glücklich[그뤼크리히]glückselig[그뤼크자이히]이지만, ein Glückgefühl haben[아인 그뤼크게퓔 하벤]처럼 명사 + 하다구조로 표현할 수도 있습니다. Glückgefühl은 명사 행복/Glück’과 명사 감정/Gefühl’이 우리말처럼 결합한 것이고, 다음 ‘-하다/-합니다haben을 붙인 것입니다. ‘흐뭇하다/행복하다그대로 영어 단어 해피 /happy’가 되는데 우리말과 한자어의 종성이 탈락한 단어일 뿐입니다.

 

17. 청소함=Reinemachen, Reinmachen

'Reinemachen': 네이버 독일어사전 (naver.com)

보통 청소하다reinigen[라이니겐]putzen[푸쩬]인데 명사형은 Reinigung[라이니궁]입니다. 우리말 종성에 ㅁ 붙이 듯이 독어는 종성 ㅇ을 붙이고 영어 단어는 ing를 붙입니다. Reinemachen[라이네마헨], Reinmachen[라인마헨]은 우리말 ‘-이 명사를 만들 듯이 ‘-machen’을 붙여 명사형을 만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