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하다‘ 정리

2022. 11. 17. 18:33말글경

우리말 ’-하다정리

 

'깃거다': 네이버 국어사전 (naver.com)

1. 기뻐하다=기쁘다

옛말) 깃거ᄒᆞ다, 깃거ᄒᆞ다의 현 표준어는 기꺼하다/기꺼워하다입니다.

 

'기꺼하다': 네이버 국어사전 (naver.com)

그래서 우리말 안에 이미 두 번째 초성에 ㅲ이 있었던 것입니다.

ㄱ이 ㅈ 된 것이 즐거워하다인 것입니다.

 

 

2. 슬퍼하다=슬프다

 

'슯허다': 네이버 국어사전 (naver.com)

옛말) 슬허ᄒᆞ다/슯허ᄒᆞ다/ 슳다

 

원형 이 있고, ‘에서 늘어진 슯허가 있고, ㅁ 탈락 된 슬허가 있습니다.

슬플 비()’는 ㅄ에서 ㅂ이 된 것입니다.

 

3. 아파하다=아프다

'알파다': 네이버 국어사전 (naver.com)

옛말) 알파ᄒᆞ다

 

고대 태고어 표식 ㄹ이 옛말에 잘 남아 있습니다.

 

 

4. 견조ᄧᅳ다=견주다

옛말) 견조ᄧᅳ다

 

이런 현상을 보면 우리말 서술형(동사, 형용사)에는 항상 ’-하다가 붙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바로 힌두어와 동일현상이고 티벳어와 동일 현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