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훔/일흠 과 종성 ㄹㆁㆁ

2022. 10. 2. 14:56하늘첫말

일훔/일흠 과 종성 ㄹㆁㆁ

 

'일훔': 네이버 국어사전 (naver.com)

 

옛말로 두 번째 /이 되는 이유도 원 종성 ㄹㆁㆁ에 맞추어 더 확실해 졌습니다. ㆁㆁ이 ㅎㅁ 되었고 중간에 ㅡ 들어간 것입니다.

 

뿌리의 불휘와 종성 ㄹㆁㆁ

 

가 ㆁㆁ에서 ㅎ 과 모음 한 획 으로 변합니다.

 

바퀴의 박회/바회도 ㆁㆁ에서 ㅎ 과 모음 한 획 으로 변합니다.

 

그래서 사람, 구름, 가람, 바람등은 원래 살흠, 굴흠. 갈함, 발흠에서 나온 것이고, ‘노래놀애도 원래는 놀ᄒᆡ에서 온 것임을 알 수 있고, ‘ᄒᆡ는 한 마디의 단어일 경우 종성 ㆁㆁ이라고 해야 더 정확합니다. ‘가락도 원래는 갈하ᇰ에서 갈학되고 가락된 것입니다.

 

그래서 ᄃᆞᆯᅌᅯᆯ()’의 경우도 ᅌᅯퟛ/ᅌᅯᆲ/ᅌᅯᆶ에서 나온 동일한 소리이고, 그래서 조선 초기 한자어 표기는 종성 ㄹㆆ의 ᅌᅯᇙ이 되는 것입니다.

달리 말하자면 한자어 ᅌᅯᇙ의 ㆁ 이 좀 더 변했다면 둬ᇙ되어 조선 초기에 남아 있을 것입니다. 그러면 서로 알아 보았을까요?

 

우리말에는 근원 모음 아래 오/아가 있으니 ᅌᆡퟛ이 최고 고어라고 보겠습니다.

 
 

달의 독어는 Mond[몬트]이니 ㅂㆁ이 ㅁ 되었고 ㅀ이 ㅦ 되고 ㄴㅌ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ㅂ에서 ㅁ 되었다했는데 ㆁ에서 ㅂ/ㅁ 될 가능성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