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 동음이의어를 통한 고대 공용어 고찰

2022. 9. 28. 13:15하늘첫말

 

동음이의어를 통한 고대 공용어 고찰

 

사람의 소리 과 동물 로 크게 나눕니다. 동물 의 옛말은 ᄆᆞᆯ로서 아래 오/아 인 점이 첫 소리임을 증명합니다. 지금까지 많은 단어로 고대 공용어를 입증했지만 이번에는 동음이의어 로 증명하겠습니다. 우리말 동물 ᄆᆞᆯ부터 살펴 보겠습니다.

 

'마필': 네이버 국어사전 (naver.com)

 

말 마(), 보통 말 마()’만 알고 있지만 을 달리 한자어로 마필(馬匹)’이라고도 합니다.

 

종성 ㄹ 탈락 하면 바로 한자어 가 됩니다. 여기서 자체는 의 옛말 ᄧᅡᆨ의 ㅂ의 ㅍ 이라 해도 되지만, ‘자체와는 어떻게 대응할까요? 이것은 우리말 ㅁ 다음에 ㆁ(여러 음가에 대응됩니다)의 ㅂ/ㅎ이 늘어지면서 ᄆᆞ블/ᄆᆞ흘이 되고 한자어는 ㅂ/ㅎ이 ㅍ 되어 마필(馬匹)’이 됩니다.

 

 

일어 단어로 보통 うま[우마]라 하고, 달리 망아지/こま/[코마]라고도 하니 에서 합용 병서 ㅁㄱ에서 무마’-->‘우마되고, ‘고마’-->‘코마된 것입니다. 달리 지역을 건너가면서 앞에 를 추가했다고 해도 크게 틀리지 않습니다.

 

의 몽골어는 морь[모리]로서 우리말 ᄆᆞᆯ모리로 늘어진 것입니다. 중요한 것은 서양 언어로 넘어 갈 때입니다. 영어 단어에서 암말을 mare[메어]라 하고, 미국식 발음은 []입니다. 그냥 우리말 ᄆᆡᆯ그대로라 해도 틀리지 않습니다. 다만 보통 을 통칭할 때 horse가 되어 ㅁ/ㅁㅎ이 ㅎ으로 나타난 것입니다. horse는 원래 mhorse였습니다.

 

 

독어의 경우도 암말Mähre[뫼러]이니 영어 단어 mare에 해당하고, 보통 ᄆᆞᆯPferd[페르트]라 하니 ㅁㅎ/mh Pf 된 것입니다.

'märr': 네이버 스웨덴어사전 (naver.com)

스웨덴어 암말märr[]이라 하니 우리말 완전 그대로입니다.

 

 

힌두어로 घोड़ा[고라]라고 하는 것은 ㅁㄱ에서 ㄱ 이 분리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헝가리어 단어로 lo[]라 하는 것은 ㅁ 이 탈락된 것으로 원래는 mlo인 것입니다.

 

그리스어로 άλογο[알로고]는 원래 앞에 ㅁ 음가가 있어 말로고였습니다.

 

인도네시아어로 kuda[쿠다/꾸다]라고 하는 것은 ㅁㄱ의 ㄱ입니다.

 

'ĕquus': 네이버 라틴어사전 (naver.com)

라틴어 단어 ĕquus[에쿠우스]는 ㅁㄱ 이 ㅇ-ㅋ 으로 나타난 것입니다.

 

 

 

 

 

 

 

2. /말하다

 

보통 속어 시버리다speak 와 독어 sprechen[쉬프레헌]을 대응시킵니다./단어의 영어는 word 이고, 독어 단어는 Wort[보르트]이고,

 

 

'mål': 네이버 스웨덴어사전 (naver.com)

스웨덴어는 우리말 그대로 mål[]이란 단어도 있습니다.

 

 

한자어 언어(言語)’의 늘어진 우리말 말흐가 ㅇ-ㅇ 된 자료입니다. 영어 단어로 말하다/언급mention이고, 독어로는 melden[멜던]이라 합니다.

 

스웨덴어 påstå[포스토]는 스웨덴어 mål[]에 기준을 두면 målsdå[몰스도]임을 알 수 있고 점차 l 탈락 후 måsdå-->påstå가 됩니다.

 

프랑스어 parler[팔리]도 이와 같이 ㅁ이 ㅍ 된 것이고, 다른 언어도 마찬가지입니다.

 

 

덴마크어로 /소리mæle[멜러]라고 하니 역시 게르만족 계통이라 거의 동일합니다.

 

핀란드어는 ㅁ이 ㅍ 되어 puhe[푸헤]가 되는 것이고, 인도네시아어 bahasa[바하사]는 ㅂ/ㅁ의 ㅂ입니다.

 

폴란드어 mowa[모바]도 우리말 의 고어 ᄆᆞᆲ에서 ㄹ 탈락 후 ‘mowa[모바]’가 된 것입니다.

 

'maneno': 네이버 스와힐리어사전 (naver.com)

 

아프리카 스와힐리어로 maneno[마네노]라고 하니 ᄆᆞᆶ에서 마레호’-->‘마레도’-->‘마네노가 되고 ma 탈락 후 neno[네노]언어/단어/토론이란 뜻이 됩니다.

히브리어도 מילה [밀라]로서 우리말 을 늘인 것입니다.

 

 

 

 이런 고찰을 통해서 동음이의어 ᄆᆞᆯ에 모든 언어가 이렇게 우연히 나타나는 것은 불가능하고, 모든 나라 언어들은 고대 한국어를 중심으로 모두 이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우리말 한국어가 고대 공용어를 찾는 나침반과 지도가 되고, 조선 시대 한글 표기는 바로 지금의 용어로 데이터를 축적해 놓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