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겯=말씨

2022. 8. 26. 21:07우리 옛말 공부

말겯=말씨

 

'말겯': 네이버 국어사전 (naver.com)

 

합용 병서 ㅺ 이니 ㄱ의 이 되고, ㅅ의 가 됩니다. 동의어로 말버릇이니 ㅴ이 모두 나누어져 나타난 경우입니다. ㄱ에 상대하는 ㄷ이 있어야 하니 한자어 ()’가 붙어 ㅁ-/ㅌ은 말투가 되는 것인데 원래 우리말이 말두였다라고 추정할 수도 있습니다.

 

영어 단어로 악센트/accent이니 //의 ㅁ이 ㅇ 되어 /ac-’이고, ㅅ의 cent인 것입니다. ‘/말씨tongue말겯의 ㅁ 옆에 ㄷ/ㅌ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ㄷ은 영어 단어에서 diction이 됩니다.

 

일어 단어로 ことばづかい/言葉遣[코토바즈카이]라고 훈독하니 옆의 ㄱ이 코토가 됩니다. ‘의 일어는 ことば/言葉[코토바]이고, ‘말씨/말투//부리こうふん/口吻[코우훙]이라 하기도 합니다.

 

독어 단어로 Wort[보르트]라 하면 ㅂ/ㅁ이 W된 것이고, ‘말씨Ausdruck[아우스드룩]이라 하니 ㅁ-ㄷ이 ㅇ-ㄷ이 된 것이고, ‘/말투/말씨Sprache[쉬프라허]의 ㅅ 초성 단어가 있습니다.

 

힌두어 단어로 बोल[]이라 하는 것은 우리말 과 동어원입니다.

 

라틴어 단어로 ㅁ은 vox[복스/웍스]가 되고, ‘/말씨/말투sermo[세르모]가 있으니 초성 ㅅ인 것이고, 한자어 말씀 사()’에 해당합니다. 라틴어 단어 orátĭo[오라티오]의 초성 ㅇ 이니 한자어 언어(言語)’의 ㅇ에 해당합니다.

 

'우리 옛말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말ᄭᅥ리=말거리  (0) 2022.08.27
말마얌이=말매미  (0) 2022.08.27
만믈=끝물  (0) 2022.08.26
막ᄌᆞ=막자  (0) 2022.08.26
막다히=막대  (0) 2022.0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