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ᅀᆞᆫ=마흔

2022. 8. 26. 11:49우리 옛말 공부

마ᅀᆞᆫ=마흔

 

'마': 네이버 국어사전 (naver.com)

 

옛말보다 현대어가 오히려 우리 고어에 더 가깝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두 번째 초성은 ㅿ에서 ㅇ 거쳐 ㅎ으로 남게 됩니다.

-표준국어대사전/네이버 국어사전, 역사정보-

 

 

영어 단어는 ㅁ에서 f 되어 for-, ‘ᅀᆞᆫ/의 ㅎ이 ㅌ 되어 ty가 됩니다.

 

 

일어 단어는 사십(四十)’의 음독 しじゅう[시쥬우]가 있고, ‘를 훈독하는 마ᅀᆞᆫ=마흔よんじゅう[용쥬우]가 있습니다. 여기서 용쥬우의 ㅇ은 바로 우리말 마흔의 ㅁ에서 ㅇ 된 것입니다.

 

우리말의 /도 원래 ㄴ 앞에 ㅁ이 있어 마흔이 되는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스물의 ㄷ 앞에 ㅅ 있었다는 증거 자료입니다. ‘다섯의 ㄷ 앞에 ㅅ 있었다는 증거 자료입니다.

 

 

독어 단어는 vierzig[피어지히]이니 역시 우리말 마흔의 ㅁ의 v인 것입니다. ‘의 독어는 zehn[]이니 ㅅ이 ㅈ된 것입니다.

 

우리말 과 한자어 을 합치면 바로 고대 공용 언어 으로 되돌아갑니다. 힌두어 단어는 चालीस[자리스]로 ㅻ이 ㅈ된 경우인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