깃깃다/긷드리다/깃드리다/깃ᄒᆞ다/깃다/짓들이다=깃들이다

2022. 8. 24. 19:00우리 옛말 공부

깃깃다/긷드리다/깃드리다/깃ᄒᆞ다/깃다/짓들이다=깃들이다

'깃깃다': 네이버 국어사전 (naver.com)

옛말 중 명사형에 다를 붙여 그대로 깃다란 동사가 되어 깃깃다라 합니다. 옛말과 현대어에서는 ㄱ에 대응하는 ㄷ이 사용되어 깃들이다로 나타납니다. 이것이 바로 ㄱ과 ㄷ이 서로 교차하여 존재한다는 분명한 증거입니다. 초성 ㄱ은 ㅈ 되어 옛말 짓들이다로 나타나는데 바로 의 ㅈ에 해당하는 것입니다. ‘깃깃다/깃들이다의 ㄱ-/-ㄷ에서 한자어 ㄱ-ㅈ의 거주(居住)’가 됩니다.

 

영어 단어는 ㄱ/-ㅅ이 ㄹ-ㅅ 되어 reside가 되고, ㄷ에서 dwell이 되고, ㅂ이 ㅎ 된 것이 habitat입니다.

 

깃들이다는 현 표준 우리말로 살다에 해당하는데 일어로 살다/거처하다/깃들이다すむ/[스무]라 훈독하니 역시 우리말 살다의 ㅅ 그대로인 것입니다. ‘거주를 일어식 きょじゅう/居住[쿄쥬]라고 하니 ㄱ이 ㅈ 된 음독입니다.

 

독어 단어로 ㅂ에서 wohnen[보넌]이 나오고, /ㅈ에서 sitzen[지쩐]이 나오고, ㄹ 되어 leben[-]이 나오게 됩니다.

 

힌두어 단어로 살다जीना[지나]라고 하는 것은 ㅅ/ㅺ이 ㅈ 된 것 뿐입니다.

 

'우리 옛말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깃거ᄒᆞ다/기ᇧ다=기뻐하다  (0) 2022.08.24
깃바대=등바대  (0) 2022.08.24
깃=보금자리/소굴, 포대기  (0) 2022.08.24
깁즈기=깊숙이  (0) 2022.08.24
긿=길미  (0) 2022.0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