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북, 요령성 방언: 뺀다머리=대머리, 전남 방언: 민들바구/민들바우

2022. 7. 21. 15:03하늘첫말

평북, 요령성 방언: 뺀다머리=대머리, 전남 방언: 민들바구/민들바우

https://ko.dict.naver.com/#/entry/koko/c7c54fdac2274d24a4d4a1decd8cb017

 옛말은 고ᄃᆡ머리인데 벗겨진 머리이니 합용 병서 ㅲ의 ㅂ 생략 후 고ᄃᆡ머리라는 옛말이 나오고, 다시 ㄱ 생략 대머리인 것입니다. 그래서 영어 단어 대머리‘bald head’인데 ‘bald’는 우리말 벗겨진의 ㅂ입니다. 현재 표준어로 벗겨진-’을 뺀 대머리인 것입니다. ㅂ이 ㅁ 되면 전남 방언의 민들이 되고, ‘바구/바우머리의 원어로서 역시 머리의 초성 ㅁ의 이전 초성 ㅂ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는 단어입니다. ㅂ이 ㅸ거쳐 ㅎ 된 것이 바로 head인 것입니다. 한자어로 독두(禿頭)’라 하는 것은 대머리(禿)’이고, ‘머리 두()’는 ㅳ/ㅁㄷ의 ㄷ인 것입니다. 일어 단어는 はげ[하게]/はげあたま[하게아타마]이니 벗겨진의 ㅲ/-ㄱ이 ㅎ-ㄱ 된 것이고, ‘머리의 ㅳ/ㅁㄷ 이 ㅇ-/ㅌ 된 것이 あたま[아타마]’인 것입니다. ‘대머리의 독어 단어는 Platte[플라트]/Mond[몬트]/Glatze[글라쩌]인데 처음 보면 어떤 고리로 연결되었는지 알 수 없습니다. ‘벗겨진의 합용 병서 ㅲ/-ㄱ이 ㅍ 되어 Platte[플라트]가 되고, ㄱ의 Glatze[글라쩌]가 되고, ㅂ이 ㅁ 되어 Mond[몬트]가 됩니다. 이렇게 방언과 우리말 표준어, 전 세계어는 벗겨진 머리/대머리/()머리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전남 방언의 민들바우바우바위가 아니라 머리라는 사실을 잘 알 수 있게 됩니다.

 

이런 우리말의 합용 병서에 따른 근원 탐구가 안되면, 사전 설명처럼 의 의미를 알 수 없게 되는 것입니다.

<<현대 국어 대머리19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나 현재까지 이어진다. ‘대머리머리가 결합한 것인데, ‘의 의미는 정확하지 않다. 17세기에 대머리와 같은 뜻으로 현대 국어 민머리의 옛말인 믠머리’(禿子 {믠머리} 1690 역해 상:29)머리가 나타난다(禿頭 머리 1690 역해 상:61). ‘대머리머리에서 제1음절이 탈락하고, 16세기 중반 이후 의 변화에 따라 제2음절 모음 로 변화한 것이라고 추정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