갖추다=구비하다(복습)

2021. 11. 18. 16:29우리 옛말 공부

갖추다=구비하다 (복습)

우리는 이런 공부를 통해서 우리말 갖추다와 한자어 구비(具備)하다를 좀 더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갖추다우리 옛말은 ᄀᆞ초다혹은 ᄀᆞ초ᄒᆞ다입니다. ‘ᄀᆞ는 그대로 ()’란 한자어입니다. ‘ᄀᆞ --ᄒᆞ다가 원래 우리말 마디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다음 두 번째 초성 우리말은 이고 한자어는 입니다. 물론 첫 번째 ㄱ의 ㅲ에서 분리된 라 보아도 되지만, 두 번째 초성이 합용병서 ㅶ 이고 다시 ㅂㅊ 되어 분리된 것이라고 해석해도 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ᄀᆞ-ᄧᆞ-ᄒᆞ다란 우리 고어를 추정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미 누누이 말씀 드렸듯이 구비하다구비(具備)’란 한자어 도입 후 ‘-하다붙인 것이 아니라 원래부터 ᄀᆞ-ᄧᆞ-ᄒᆞ다가 있었고 그 후 한자어 구비(具備)’가 분리되었다고 저는 보는 것입니다.

조금 과장하자면, ‘ᄀᆞ-ᄇᆞ-ᄒᆞ다/ 구비하다에서 그대로 ᄀᆞ--ᄒᆞ다/갖추다가 나왔다고 해도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미리 갖추다준비(準備)하다인데, ‘미리의 ㅁ 의 ㅁㅈ 의 ㅈ 이라 보는 것입니다.

 

 

네이버 국어사전 참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