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다=싫다 복습 추가

2021. 11. 12. 10:31우리 옛말 공부

마다=싫다

https://ko.dict.naver.com/#/entry/koko/95cb0cd672494698ab4dea7c047d6832

   ㅄ 다음 ㅯ에서 분리된 단어 중 하나입니다. ㅯ 은 우리말에 합용병서로 존재하지 않고 분리되어 존재합니다. ㅁ에서 밉다/미워하다가 나오게 됩니다. 원래는 ‘()싧음 밃()+ 베다/하다로서 ㅅㅁ 이 ㅈㅇ 되어 증오(憎惡)하다로 남게 됩니다.

원래는 ‘()싧음 밃()+ 베다/하다로서 ㅅㅁ 이 ㅈㅇ 되어 증오(憎惡)하다로 남고, ㅁㅁ 이 ㅎㅇ 되면 혐오(嫌惡)하다가 되고, ㅇㅇ 되면 염오(厭惡)하다가 됩니다.

 그래서 우리말에서 하다와 결합하면, ‘()싧음 밃()+ 베다/하다에서 앞부분이 ‘()싧음 + 베다/하다로 분리되면, ‘싫어하다가 되고, 뒷부분이 ()+ 베다/하다로 분리되면, ‘미워하다가 되는 것입니다. 고대 한국인과 중원인은 ‘()싧음 밃()+ 베다/하다시절 분리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말과 한자어를 참고로 분리 되기전 표현은 ꥱᅵᆲ() ꥱᅵᆲ() 붸다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ㅁ이 ㅎ되면 hate 가 됩니다.

 

'우리 옛말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리  (0) 2021.11.12
마령=붓꽃  (0) 2021.11.12
마기=두겁, 날밑  (0) 2021.11.12
마고물다=악물다  (0) 2021.11.12
마=물기가 없고 기름지지 아니함’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0) 2021.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