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벳어 단어와 문장 구성 고찰을 통한 고대 공용어 도출

2021. 11. 12. 09:17우리 옛말 공부

티벳어 단어와 문장 구성 고찰을 통한 고대 공용어 도출

 

1. 우리말과 같이 전체 기본 어순은 주목동이다.

2. 우리말처럼 명사(2마디:ㅄᄒᆞᆲ ㅄᄒᆞᆲ ) + 하다=동사구조를 가진다. 한국에서는 한자어 전래라고 알고 있다. 티벳어를 참조로 한자어 + 하다구조라 하는 형식은 훨씬 고대에 이미 존재했고 고대 한국과 고대 티벳에 걸쳐 사용했다. 한국어는 서술형 어미에 모두 ‘-하다를 붙이니 그 근원이 고대 한국어/티벳어에 있다.

3. 우리말과 달리 동사 + 의성어/의태어(부사/수식어) 2마디구조를 가진다

4. 우리말과 달리 명사 + 형용사/수식어구조를 가진다

 

2번 과 3번을 동시에 나타낼 수 있는 ㅄᄒᆞᆲ ㅄᄒᆞᆲ ㅄᄒᆞᆲ이 고대 공용어 기본 뼈대입니다.

동양제어 나 ㅄᄒᆞᆲ 이()’ 구조와 서양제어와 동남아시아 나 이() ㅄᄒᆞᆲ구조로 분리 됩니다.

 

1번과 2번은 고대 한국과 티벳이 같이 있었던 시기이고, 분리되면서 34의 수식 구조에서 차이를 가져왔다.

2번 과 3번을 동시에 나타낼 수 있는 ㅄᄒᆞᆲ ㅄᄒᆞᆲ ㅄᄒᆞᆲ이 고대 공용어 기본 뼈대입니다.

 

동양제어 나 ㅄᄒᆞᆲ 이()’ 구조와 서양제어와 동남아시아 나 이() ㅄᄒᆞᆲ구조로 분리 됩니다.

 

*초성 ㅄㅎ 의 ㅎ 은 편의상 적은 것으로 모든 자음을 포괄한다.

종성 ㄼ 은 편의상 2개 자음으로 적은 것으로 원래는 3개의 ㄼㅎ에서 ㄼㄱ/ㄼㅅ 등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