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11. 10. 17:15ㆍ우리 옛말 공부
‘다스리다’=통솔(統率)하다, 그리고 ㅳ 티벳어 고찰
-------------------------------------------------------------------------------------------복습
이번에는 ‘다스리다’를 고찰해 보겠습니다.
먼저 우리 옛말입니다. 옛말은 ‘다ᄉᆞ리다’ ‘다ᄉᆞᆯ오다’입니다. 원래는 ‘다ᄉᆞᆯᄒᆞ다’ 임을 알 수 있습니다. ‘다스리다’의 한자어는 ‘통치(統治)하다’ 이니 ‘다ᄉᆞᆯ’에서 ㄷ은 ㅌ, ㅅ은 ㅈ/ㅊ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ㄷ에서 ㄱ 나와서 govern 이 됩니다. 원래는 dgovern 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더 고대 영어는 bdgovern-현재 알아 보기 쉽게 표기한 단어입니다.-입니다.
이제 티벳 사전을 보겠습니다.
<<티베트어-한글 사전, 전재성 편저, 한국빠알리성전협회, 532쪽>>
བདག་ སྐྱོང་ བྱེད [ dag v kyong h jew / 닥 v 쿙 h 유]=다스리다, 통치하다, 관리하다, 정비하다, 보수하다
문자 상 의 소리 표기 : [ bdag h skyong h bjyi da / ᄠᅡᆨ(h) ᄸᅭᆼ(h) 뷔다]
티벳어 –뷔다 는 우리말 ‘-ᄒᆞ다’임을 여러번 설명드렸습니다. ㅂ이 약해지면서 ‘유(ㄷ)’가 됩니다.
문자로 보면 우리말 ‘다스리다’ 의 ㄷ 앞에 ㅂ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두 번째 초성은 ㅺ 인데 우리말은 ㅅ을 가져왔고 티벳어는 문자로는 ㅺ/ㅅㅋ 을 가졌는데, 현재 소리는 ㅅ을 빼고 ㅋ 만 남은 것입니다. 그래서 ‘다스리다’ 고대 한국어는 ‘ᄠᅡᄭᆞᆯᄒᆞ다’입니다.
----------------------------------------------------------------------------------------------복습)
(추가)
여기서 ㅳ을 살펴 보겠습니다. 우리말은 ㅵ에서 ㅅ 이 빠진 후에 합용병서 중 ㅳ 이 상당히 많이 남아있는 합용병서입니다. 위 자료에 티벳 사전의 단어들은 ㅳ 으로 구성되어 우리 옛말과 같은 ㅳ을 구성하다가 ‘다스리다’의 문자상 발음 ‘ᄠᅡᆨ ᄸᅩᆼ 붸다’에서는 초성 ㅳ 이 잘 남아 있습니다. 이것은 원래 ㅵ 이었다가 ㅅ 이 빠진 후 나타난 모양새입니다.
'우리 옛말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몰다/운반하다, 맛있는, 그리고 티벳어 비교 고찰 (0) | 2021.11.10 |
---|---|
칠, 일곱, 그리고 티벳어 고찰 (0) | 2021.11.10 |
써흘다=썰다 (0) | 2021.11.10 |
싸홈ᄒᆞ다=싸움하다 (0) | 2021.11.10 |
싱슝샹슝=싱숭생숭 (0) | 2021.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