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끌벅적에 대한 추가 , 수ᅀᅳ워리다=수선거리거나 수런거리다

2021. 11. 5. 14:32우리 옛말 공부

추가

https://ko.dict.naver.com/#/entry/koko/3acfe9005dc64a19898c626b8d2dc375

수ᅀᅳ워리다=수선거리거나 수런거리다

 

수선스럽다/수선거리다/ 수선대다=자꾸 떠들다

수런거리다/ 수런대다

두런거리다/ 두런대다/ 두런두런하다

지껄이다/왁자지껄하다/왁작왁작하다

웅성거리다/웅성대다

 

 

 

자꾸 떠드는 모습에도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떠들다가 ㅼ 과 ㅼ 이니 수선스럽다/수선거리다/ 수선대다가 나옵니다.

ㅼ 과 ㅅㄹ 되면 수런거리다/ 수런대다가 됩니다.

ㅼ에서 ㄷ만 초성에 나오면, ‘두런거리다/ 두런대다/ 두런두런하다가 나옵니다.

ㅂ 이 ㅇ 되고 ㅼ 이 ㅈ 되면 왁작왁작하다가 되고, ㅼ 이 첫 초성에 나오면, ‘지껄이다가 됩니다. 합치면, ‘왁자지껄하다가 됩니다.

ㅂ이 ㅇ 된 또 하나의 변음이 웅성거리다/웅성대다입니다.

 

위 단어들의 ᄒᆞ다에 보면, ‘스럽다/ 거리다/ 대다가 나오므로 ᄧᅳ다와 합쳐 보면 역시 서술형 어미에도 ㅴ/ㅵ 이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제 그러면 우리말 수런거리다/ 수런대다그대로 한자어 소란(騷亂)’이 나온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약간의 어감이 다른 수다스럽다너덜거리다/너덜대다/너털대다가 됩니다.

 

<<고조선문자3, 경진출판사, 허대동, 참조 >>

 

 

 

[[이전 공부--------------------------------------------]]

시끌벅적, 시끌버끌/시글버글, 왕왕작작, 시끄럽게 떠들다, 떠들썩하다, 수선수선하다,

북적북적하다, 바글바글하다

 

ㅴ에서 원래는 버시글 버시글이었다가 시끌버끌이란 전남 방언이 나오고, 현 표준어 두 번째의 벅적은 ㅺ 이 ㅈ 된 형태입니다.

 

 

ㅂ 이 ㅇ 되어 나타나는 제주 방언 왕왕작작도 있는데 현 표준어 와글와글에 대응됩니다. 시끌시끌이란 동일 표현으로 나타나기도 하니 역시 ㅴ 의 원형 형태를 잘 표현하고 있다고 보는 것입니다. ‘시끄럽다그대로 소란(騷亂)’하다가 되는 것입니다.

 

 

버시글버시글에서 ㅅ 만으로 시글시글이 되고 시끄럽다가 됩니다. ‘시끄럽게 떠들다이니 ㅺ 이 ㅼ 되면 떠들다가 됩니다. ‘떠들다의 옛말은 들쾌다로 나타납니다. ㅴ 이 아예 ㅅ 으로만 나타나는 수선수선도 있습니다. ‘수선수선버시글버시글로 적용이 안됩니다. 여기서 ㅅㅅ 은 ㅺ/ㅼ 이 나온 ㅅㆁ/ㅅㅎ에서 ㅅㅅ 되었다고 해야 이해를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소리보다 복잡한 상태를 강조하는 표현이 북적북적입니다. 한자어로 바로 복잡(複雜)하다가 되는데 원래는 단어를 겹쳐 복잡복잡하다였을 것인데 중간에 우리말 어법이 많이 사라져서 복잡하다/복잡다로만 남은 것입니다. 그런데 이런 우리 어법을 비슷하게 따라한 것이 4자 성어로서 복잡다단(複雜多端)하다인 것입니다. 그리고 ㅂㅈ 그대로 번잡(煩雜)하다가 나오고, ㅂ이 ㅎ 되면 혼잡(混雜)하다가 됩니다.

제 아무리 한자어를 원류로 삼고 싶어해도 복잡’ ‘번잡’‘혼잡에서 북적북적이란 우리말 의태어가 나왔다고는 주장하지 않을 것입니다.

 

북적북적하다의 우리말은 또 무엇이 있을까요? ‘붐비다입니다. 원 말이 이니 늘어져 붐비하다/붐비ᄧᅳ다다음 붐비다가 됩니다.

 

시끌은 주로 소리에 북적은 행동에 주안점을 둔 우리 고유어지만 섞어서 시장과 같은 복합적인 상황을 표현하기도 합니다.

 

다음 ㅲ 만으로 바글바글하다를 나타내는데, ‘동물과 사람을 모두 표현하니 사람 만을 주로 표현하는 북적북적보다 더 고유어라 볼 수 있습니다. 또 ㅲ에서 우리말 번거롭다가 나오게 되고 한자어 ㅄ 의 한자어 번쇄(煩瑣/煩碎)하다가 나오고 두 번째 초성이 ㅺ 이니 ㅈ 되어 우리말 북적’, 한자어 복잡(複雜)’이 됩니다.

 

복잡하다의 영어는 ㅄ/ㅶ에서 busy가 되고, ㅲ 이 ㅂ 탈락 ㄱ 의 형태로 crowded 가 되고, 서로 함께 같이의 com-/con-이란 표현과 결합하여 ㅂ 은 ㅍ 되어 complex, complicated, congested 가 나오게 됩니다. ㅳ은 ㅇㅌ 되어 intricate 가 되고 ㅌ만 tangled 가 되는 것입니다.

 

시끄럽다영어는 ㅂ에서 boisterous 이고, ㄱ 이 ㄴ 되면 noisy, ㄹ 되면 loud 가 됩니다.

boisterous를 살펴 보자면 ㅵ 이 bst 된 현상을 알 수 있습니다.

 

일어에 시끄럽다중 한 단어를 살펴보면 한자어로 떠들 소()’를 겹쳐 騷騷라 적고 읽기로는 そうぞうしい[소우조우시이]라고 읽는데, 우리말 시끌시끌의 ㅅ 부분만 그대로 남았다는 것을 알 수 있고 ‘-하다부분은 ㅄㆁ에서 ㅅ부분이 ‘-시이가 됩니다.

 

붐비다/복잡하다こむ[코무]는 ㅲ에서 ㄱ 만 남아 ㅋ 된 것이고, ‘複雜로 적고 ふくざつだ[후쿠자츠다]’ 로 읽는데 ㅂ 이 ㅎ 된 현상으로 한자어 혼잡하다/혼잡다와 같은 현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이렇게 우리말 브시글 브시글이 소리로는 시끌시끌’, 모습으로는 북적북적되고 전 세계어가 된다는 것을 누구나 알기 쉽게 입증해 보았습니다.

 

 

 

'우리 옛말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숟갇나ᄒᆡ=숫처녀(處女)  (0) 2021.11.05
숙ᄭᅮᆯ다=솟고라지다, 솟구치다  (0) 2021.11.05
수티새=수키와  (0) 2021.11.05
수위다=수렁이 되다, 빠지다  (0) 2021.11.05
수메=슴베  (0) 2021.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