솝다=입다
2021. 11. 4. 10:27ㆍ우리 옛말 공부
솝다=입다
https://ko.dict.naver.com/#/entry/koko/a62acf87fcb54f3abb30431018934f2a
앞에서 ‘옷’의 옛말로 ‘ᄭᅥᆺ/곳’을 찾은 바 있습니다. 그러니 ‘입다’의 원어는 ‘ᄭᅩᇓ’ 임을 알 수 있습니다. ‘솗다’를 거쳐 ‘솝다’란 옛말이 됩니다.
https://ko.dict.naver.com/#/entry/koko/eca353cf4f7844a6bae6937a63051304
또 옛말 동의어 ‘닙다’는 ㅺ 이 ㅻ 되어 ㄴ 의 ‘닙다’가 되어 ‘입다’로 최종 나타납니다. ㅺ 의 ㄱ은 ‘걸치다’로 나오고, ㄷ 은 ‘두르다’로 나타납니다. 한자어는 ‘착복(着服)하다’로 나타나는데, ㅺ/ㅻ/ㅼ 이 ㅈ/ㅊ 의 ‘착’이고, ‘옷’의 ㅂ에서 나온 ‘복’입니다. ‘복장(服裝)’은 ‘옷차림’ ‘옷꾸밈새’ 인데, 한자어가 아닌 우리말 순서대로 된 단어입니다.
‘솝다’와 ‘닙다’의 종성 ㅂ 은 고대 한국어 종성 발음 표준 ㄼ에서 나온 단어임을 알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