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조, 개혁 과 우리 옛말 입증

2021. 8. 5. 13:22고대 한국어=티베트어

 

 

བསྒུར་ བཀོད[gyunkoh][귄 코흐]=개조, 개혁

문자 그대로 음가 표현 [bsgyur(h) bkod][ ᄢᅱᆯ ꥳᅬᆮ ]

 

 

<<티베트어-한글 사전,

전재성 편저, 한국빠알리성전협회 , 293쪽>>

 

 

 

 

 보시다 시피, 우리말 ㅂㅅㄱ 이 문자로 정확히 남아 있습니다. 다만 현 소리는 ㅂㅅ 이 사라진 후 ㄱ 만 남은 것으로

현 우리말 존재와 같습니다. '고치다' '한자어 개(改)'의 원형입니다. 종성 ㄹㅎ 도 거의 남아 있는데 현 발음은 ㄴ 이 된 것입니다.

 

 두번째 소리도 ㅂ 문자는 남아 있지만 소리는 사라지고 종성에 해당하는 ㄷ 은 h로 흐려져 고대 발음 ㄹㅎ 의 ㅎ 으로 다시 돌아간 것입니다.

 

동사의 경우

བསྒུར་ བཀོད་ བྱིད [gyunkohjew][귄 코휴-]=개조하다, 개혁하다

 

문자대로 표기 : [bsgyur(h) bkod(h) buida][ ᄢᅱᆯ ꥳᅬᆮ 뷔다]

 

 

우리말은 -하다 로 남지만, 티벳어는 문자로 '-뷔다/부다'로 남고 현 발음은 [-유 jew]로 남습니다.  

 

 그리고 티벳어와 한자어 의 관계를 살펴 보자면, bkod(h)[코흐]의 ㅂ 이 ㅎ이 되어 이 됩니다. ㅎ/ㅎㅋ 다음 ㅈ 의 '조'가 됩니다.

 

더 중요한 것은 개혁/개조다음 하다에 해당하는 뷔다를 한자어 도래 이전에 붙였다는 것입니다. -이미 강조했습니다.-

 

 

 

 

https://blog.daum.net/daesabu/18326299?category=2202909 

 

변ᄀᆡᄒᆞ다=변개(變改)하다

변ᄀᆡᄒᆞ다=변개(變改)하다 https://ko.dict.naver.com/#/entry/koko/1a4d3a52bbb9453eaf3368ff55c0fb09 ‘바꾸고 고치다’를 줄인 그대로인데, 한자어에서 우리 옛말이 나왔다 생각하기 쉽습니다. ㅲ에서 ㅂ은..

blog.daum.net

 

 

이렇게 고대 한국어 ㅴ 이 정확히 티벳 문자로 남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티벳도 고대 한국에 갈라진 겨레임을 증명한다 하겠습니다.

 

 

 

'고대 한국어=티베트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맛 보다의 비밀  (0) 2021.08.05
'쐐기를 쐐기다?' 아니고 '쐐기를 박다' 입니다.  (0) 2021.08.05
ㄷㄱ 의 증언  (0) 2021.02.14
산이 '리'인 이유는?  (0) 2021.02.11
바람이 왜 '룽' 일까요?  (0) 2021.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