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다 고찰

2021. 7. 23. 21:22한국어=카자흐어, 우즈벡어

쓰다 고찰

https://dict.naver.com/uzkodict/#/entry/uzko/33aa6ee68196435688e58b6d3678f652

 

 우즈벡어로 yozmoq[요즈머크]인데, ㅴ 이 ㅇㅈ 된 겨우입니다. 카자흐어로 жазу[자즈으]라 하는데, ㅅ이 ㅈ 된 것입니다. 이와 같이 쓰다/기록하다의미에 따른 각 나라 언어는 달라 보이지만, 그 근원에는 ㅴ 이란 고대 원어가 있는 것입니다.

 

 

복습)

 

쓰다, 기록하다=ГУУЛАХ [고올라흐], БИЧИХ [비치흐]

 

 

글을 쓰다’, ‘글을 기록하다라고 합니다. 그런데 원칙대로라면 글을 글다라고 해야 하는데 그렇게 하지 않는 데에는 그 이면에 이런 규칙이 들어 있습니다. ‘이 늘어지니 기록이 되고 몽골어 ГУУЛАХ [고올라흐]’가 됩니다. 특히 우리말의 부분은 고오’, ㅀ은 라흐가 되니 우리말을 완벽하게 늘였다고 보는 것입니다. 그러면 쓰다’‘기록하다를 모으면 초성이 이니 영단어 ‘scribe’ ‘script’ 가 되고 ㅂ이 앞에 있었으니 w 되어 write 가 되는 것입니다. 영어로 compose 라 할 경우 com-이라고 보아도 됩니다. 독어는 ‘schreiben [쉬라이벤]’ 으로 sch-로 나타나니 결국 우리말 쓰다인 것입니다. 더 깊이 들여다 보면, 한자어라고 아는 기록(記錄)’이 원래 우리말이니 글을 그릏하다에서 기록하다가 되었을 것입니다. 후대 한자어와 겹치다 보니 원래 누가 어른의 언어를 사용하는지 모르게 되는 것이고, 몽골인들은 아마도 이 단어가 한자어에서 온 것이라 생각하지 않을 것입니다. БИЧИХ [비치흐/bichikh] 의 경우 ㅴ에서 ㅂ 은 비, ㅺ 은 [/ch] 가 됩니다. 우리말에 이 되는 것입니다.

 

 

 

 

 

'한국어=카자흐어, 우즈벡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들다 고찰  (0) 2021.07.22
살다 고찰  (0) 2021.07.22
빠른  (0) 2021.07.22
보다 고찰  (0) 2021.07.20
나는 물을 마신다.  (0) 2021.0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