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몽골어 Би[비]

2021. 2. 14. 20:11한국어=몽골어

나의 몽골어 Би[]

dict.naver.com/mnkodict/#/entry/mnko/ac8932793dcd4ff2875125232abda5a8

 

 

나의 한자어 아(), 영어 I, 독어 Ich[이히]를 보면, ㄴ 이 탈락한 후 나타난 언어입니다. 여기서 핀란드어를 보면,

 

 

dict.naver.com/fikodict/#/entry/fiko/2382d50f2c4d4306b9e8d91d1af5f9b7

minä[미나]가 나오는데, 나 앞에 가 붙어 있습니다. ㅁ 이 ㅂ 되니 몽골어 Би[]가 됩니다.

 

독어 Ich[이히]를 참고해서 에서 가 되었다고 해도 됩니다. 어쨌거나 요하문명 당시 미나란 용어로 의사소통 가능했을 것입니다.

 

나는 물을 마신다. 몽골어는 Би ус уудаг.[비 우스 우다그],

-구글 번역기-

 

에서 므스’-->‘우스가 됩니다. 동사 원형은 уух[우흐]인데, 문장에 들어가면 ‘-다그로 마치게 되는데, 우리말 ‘-다음에 를 붙인 형태가 됩니다. 한국과 몽골이 분리되기 전 언어는 나히/나비 믏 믏다()’라 추정할 수 있습니다. '나비'에서 '비'가 강조되고 ㄴ 이 묵음되었다가 사라지면, 몽골어 1인칭이 됩니다.

 

 

///ᄆᆞᆶ/ꥱᆞᆶ만 보아도 우리말이 일어 미즈나 몽골어 우스보다 훨씬

고어를 유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가장 기초적이고 원초적인 조차 '미즈/미스'란 일어가 먼저라고 우기지는 않겠지요?

 

설마 핀란드어 vesi[베시]가 물의 원조라 하실라나?

 

독어 Wasser[바슬] 에서 왔다 할랑가 모르지요. ㅯ에서 ㅁ 사라진 후 ㅅ 의 한자어 수()가 되는데, 일어 미즈/미스’, 핀란드어 ‘vesi[베시]’, 독어 ‘Wasser[바슬]’ 의 순음이 생략된 후 ㅅ 의 수()입니다.

 

 

다시 말하자면, 한자어 수()의 음가는 원래 ꥱᆞᆶ’ -상나라 시기, 혹은 요하문명 시기-인데, 한자어 도입 시 ㅁ이 생략되고 종성 ㅀ 도 사라진 후 만 남게 되었던 것입니다. ‘뫼 산’ ‘마음 심’ ‘몸 신’ ‘맡길 신등이 모두 같은 유형입니다.

 

 

 

 

#

아무리 말해도 못 알아 듣는 인간들이 있지요?

 

 

 만약 몽골인들이 '나'를 '비'라 안하고 '나'라고만 했다면,

너무 쉽게 우리 고어의 위치를 찾았을 터인데요.....

'한국어=몽골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이 높다. =уул өндөр.[울 왼데르]  (0) 2021.02.15
나는 물을 좋아한다.  (0) 2021.02.14
집=게르  (0) 2021.02.14
높은=ӨНДӨР[ÖNDÖR][왼되르]  (0) 2021.02.10
끓이다=буцлГах[보찰가흐]  (0) 2021.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