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3. 26. 08:19ㆍ환국대동훈민정음
45. 밥 반(飯) 복습
밥의 옛말은 반 입니다. 존칭어는 '진지', 은어로 '기시, 무림, 무리미, 무리시, 시다이' 가 있습니다.
-네이버 국어사전-
또 궁중어와 제사어로 '메' 라 하기도 합니다.
이는 고대 첫 단어를 유지하고자 하는 의지를 가진 표현입니다.
'끼니' 라는 동의어도 있는데, 옛말은 'ㅄ기니' 이고, 방언으로 '사곡, 시걱'등이 있습니다.
-네이버 국어사전-
영어는 빵, 음식의 푸드 food 가 변음입니다.
우리말과 한자어는 완전히 같은 '반'이고 우리 고어 '메/멯'의 변음이라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 '먹다', '맛', '맛있다' 가 나왔다고 봅니다.
영어는 밀 meal, 즉 '멣' 에서 나온 것
영어권 사람들이 우리 궁중어와 제삿밥의
'메' 에서 나온 '밀meal'을 안다면
어떤 표정일까요?
mealh-->meal
1. 일어 mesi[메시], 우리 고어 '멯' 그대로 푼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말 은어 '무리시'를 참고하자면 ㅀ 이 있는 '멣' 이 원어입니다.
2. 몽골어 [보따]
http://mndic.naver.com/#/entry/mnko/1822232
곡식, 음식, 밥 , 즉 우리말 '반' 의 풀이말입니다.
심지어
존칭 진지의 '저-ㄱ' 도 있다는 것입니다.
http://mndic.naver.com/#/entry/mnko/1828726
3. 베트남어 [브어 안]
http://vndic.naver.com/#/entry/viko/1357359
우리말 한자어 '반'을 늘인 정확한 발음 '브어 안'
com[껌]
http://vndic.naver.com/#/entry/viko/2872334
끼니의 끼의 껌
4. 인도네시아 makan[마칸]
http://iddic.naver.com/#/entry/idko/425837
먹다, 메의 마칸
5. 밥의 힌두어, भात [bhaat][밭]
http://hidic.naver.com/#/entry/hiko/1063872
힌두어도 밥이지요.
그리고 ㅂ 이 ㅂㅎ(bh)으로 정확히 납니다.
6. 라틴어 mensa[멘사]
http://ladic.naver.com/#/entry/lako/567648
즉 우리 고유어 '멣' 에서 나온 '멘사', 특히 3번 제상을
보면 우리 제사 '메'와 딱 그대로입니다.
7. 터키어
yemek[예메크]
http://trdic.naver.com/#/entry/trko/1461830
mek 의 '멯' 앞에 ye 가 붙은 것
pilav[피랍]
http://trdic.naver.com/#/entry/trko/1457066
밥의 변음 , 밣 에서 ㅂ 은 ㅍ, ㅀ=lav
8. 스웨덴어
mål[몰]=끼니, 식사
http://svdic.naver.com/#/entry/kosv/882752
우리말 '멣'의 변음
9. 독어는?
Mahl[말]
http://dedic.naver.com/#/entry/deko/2747728
우리말 '메'가 독어 '말'이지요. ㅀ 이 교차되어 hl 이고 h 는 묵음입니다.
10. 영어는 meal [밀]
'멣' 이 밀 meal 이되어 인류의 스승 앞에 나타났는데, 아무도 모르지롱.
알면 그런 공부를 했겠어요?
'환국대동훈민정음 ' 카테고리의 다른 글
47. 배 박 복습 (0) | 2018.03.28 |
---|---|
46. 밥그릇 반기 복습 (0) | 2018.03.27 |
44. 콩 두부 복습 (0) | 2018.03.25 |
인류사에서 토기의 의미? (0) | 2018.03.24 |
43. 독 옹 복습 (0) | 2018.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