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2. 6. 10:16ㆍ환국어·훈민정음 단어 변음 법칙
6. 환국어 새의 시 고찰
한자어 '시'를 검색하면 특별히 '새'에 관련된 단어들이 열거 됩니다.
1) 날개 시
http://hanja.naver.com/hanja?q=%E7%BF%85
음을 표현하는 지(支)가 '시'로 변하는 기준은 우리말 '새의 시' 입니다.
2) 홰 시
http://hanja.naver.com/hanja?q=%E5%A1%92
닭 같은 새가 앉아 있는 곳이 홰인데, 새의 시입니다.
시(時)를 붙이는데, '새의 시' 음가를 표현하면서 닭이 시간을 알려준다는 것입니다.
3) 뻐꾸기 시
http://hanja.naver.com/hanja?q=%E9%B3%B2
뻐꾸기와 비둘기, '새의 시', 우리말일 뿐 입니다.
사성 중국 음조 표기를 보면 역시 우리말 '새의 시' 그대로 내고 있습니다.
뻐꾸기와 비둘기를 통칭해서 한국인은 '새', 중국인은 개별적으로 '시shi' 라고 하는 것입니다.
4) 새매 시
http://hanja.naver.com/hanja?q=%E4%B2%AD
새매와 접동새, 역시 '새의 시' 우리말일 뿐입니다.
5) 칼깃 시
http://hanja.naver.com/hanja?q=%E7%BF%A8
칼 깃, 사나운 새, 역시 '새의 시' 우리말일 뿐입니다.
6) 날개 칠 시
http://hanja.naver.com/hanja?q=%E6%AF%B8
날개 치다, 역시 우리말 '새의 시'에 관한 단어입니다.
이런 여러 단어들이 한자어 '시' 인데, 이는 우리말 '새의 시'를 기준으로 하니
한자어를 만든 사람은 고대 한국인입니다.
앞의 소의 경우는 음가가 대응되는 경우이고, 새의 경우는 그 의미들이 대응되는 경우입니다.
또 한가지 기본 단어 중에 '새집 소' 가 있습니다.
http://hanja.naver.com/hanja?q=%E5%B7%A2
새가 속 들어간 새집, 새의 소,
가리다의 솝다의 소
추가 증거 자료)
우리말의 너새=너시
http://blog.daum.net/daesabu/18307369
떼지어 날 시
http://blog.daum.net/daesabu/18307321
하늘 아래 가장 큰 공부이지예.
'환국어·훈민정음 단어 변음 법칙 ' 카테고리의 다른 글
8. 고물의 정체를 알다. (0) | 2017.02.06 |
---|---|
7. 환국어 초성 ㅁ 의 법칙 (0) | 2017.02.06 |
5. 환국어 초성 ㅅ (0) | 2017.02.06 |
4. 환국어 클 거 고찰 (0) | 2017.02.06 |
3. 환국어 키와 기, 그와 기 사이 (0) | 2017.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