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께서 예조에 명한 말씀
2016. 4. 22. 10:10ㆍ국명 흐 의미
세종실록 37권, 세종 9년 8월 21일 병자 3번째기사 1427년 명 선덕(宣德) 2년
단군과 기자의 묘제와 삼국 시조에 대한 치제에 대해서 정하여 아뢰게 하다
예조에 전지하기를,
"단군(檀君)과 기자(箕子)의 묘제(廟制)를 다시 의논하고, 신라·고구려·백제의 시조(始祖)에게 묘를 세워 치제(致祭)하는 일을 모두 고제(古制)에 상고하여 상세하게 정하여 아뢰라."
하였다.
제가 우기는 인간이라고 보시나요?
그러면 한문으로...
傳旨禮曹曰:
檀君、箕子廟制更議。 新羅、高句麗、百濟始祖立廟致祭, 幷考古制, 詳定以聞。
세종께서 일제와 투쟁하기 위해, 어떤 특정 종교에
매몰되어 이런 지시를 내린 것인가요? 묘제란 살아 있었던 조상에 대한 것이고 신에 대한 것이 아닙니다.
그냥 우리 뿌리와 역사에 대한 존경심을 표하고자 하신 것입니다.
일제치하에서는 종교화 될 수 밖에 없었지요.
세종께서 현 식민사학을 보면 얼마나 혀를 차실지,,,,,쯧쯧쯧...
'국명 흐 의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송교수에 대한 반론 (0) | 2016.04.22 |
---|---|
단종 때의 상서문 (0) | 2016.04.22 |
이정기 제나라를 통한 백제 국호 고찰 (0) | 2016.04.22 |
확실한 중국 대륙 진출 (0) | 2016.04.22 |
세종 때 우의정 유관의 상서문 (0) | 2016.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