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음 변음의 주체로 인류 언어 기원을 증명하다.

2015. 1. 14. 09:54국명 흐 의미

 

 

 

환(晥)

1. 환하다, 밝다

2. 밝은 별

3. 밝은 모양

4. 나라 이름

5. 땅 이름

 

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날일(日☞해)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完(완→환)이 합(合)하여 이루어짐

(네이버 한자 사전)

 

 

위에서 형성문자란 뜻과 음으로 문자를 형성했다는 것입니다. 뜻을 포함하는 것은 해 일(日)이고, 음을 나타내는 부분은 完(완→환)입니다. 그런데 변음되어 ‘완’에서 ‘환’으로 바뀌었다고 합니다. 그러면 변음의 주체는 무엇인가가 핵심이고, 지금껏 누구도 의심하지 않은 부분입니다. 이 변음에 영향을 준 것은 바로 우리말 ‘환하다’ 라고 봅니다. 결국 우리말의 환하다에서 나온 한자음 ‘환(晥)’ 이 되었다고 봅니다.

 

 

변음의 과정 중에 바로 우리말을 줏대로 하는 의식이 개입한 것입니다.

'국명 흐 의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姦)  (0) 2015.01.14
女를 중심으로 변음 고찰  (0) 2015.01.14
변음의 과정 속에 우리말의 작용이?  (0) 2015.01.14
웃을 소(笑) 고찰?  (0) 2015.01.14
이래도 증거가 없다 할 것인가?  (0) 2015.01.13